30년 후 80세 이상 가구 119만→488만…전체 20.9%30세 이하 499만→274만 '반토막'…저출산 지속 여파
앞으로 30여 년 후인 2052년에는 5집 중 1집꼴로 가구주 연령이 80대 이상일 것으로 관측된다. 2차 베이비붐 세대가 대거 80대로 진입하고 급격한 고령화로 노인 가구 비중이 대폭 높아져서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65세 이상 노인 가구주 비중 50.6%...2022년 대비 2배 늘어전체 가구 중 부부가구 비중 5.6%p↑...기대수명 증가 영향가구원 수도 점차 감소...2034년 처음으로 2명 아래로 내려가
2052년에는 전체 10가구 중 4가구가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특히 1인 가구 중 80대 이상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말께 우리나라 계층 이동성을 파악할 수 있는 '소득이동통계'가 공개된다. 지역 인구감소 대응 및 발전 수립을 위한 통계도 생산된다.
통계청은 12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년 통계청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중점 추진 과제는 민생통계 생산·서비스, 역동 경제와 기업 경영 지원, 인구 위기 대응 뒷받침, 국가 통계 신뢰 회복 등이다
약 30년 후에는 부부와 미혼 자녀가 함께 사는 전통적인 핵가족이 큰 폭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저출산·고령화 현상의 가속화와 자의적으로 아이를 갖지 않는 '딩크족'이 늘어나는 영향이다.
통계청은 20일 발표한 '2020~2050년 장래가구 추계(시도편)'에서 부부와 미혼 자녀가 함께 사는 가구는 2020년 607만8000가구에서 2050년에는 390만
우리나라 인구가 지난해 처음으로 감소하며 이미 정점을 기록한 가운데, 가구는 1인 가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2039년까지 늘어난 뒤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됐다. 고령화 또한 가속화되면서 2050년엔 독거 노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20%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됐다.
통계청은 20일 발표한 '2020~2050년 장래가구 추계(시도편)'에서 총가
고령화의 영향으로 2050년에는 전국 17개 시도에서 '독거 노인' 가구의 비율이 20%를 넘어설 전망이다. 독거 노인의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전남으로, 전체 가구의 30%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투데이가 20일 통계청의 '2020~2050년 장래가구 추계(시도편)'를 분석한 결과, 2050년 60세 이상 1인 가구는 총 532만7000가구로, 전
전국 1~2인 가구가 늘면서 소형 주택 수요가 늘고 있다. 가구원이 줄면서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주거 공간 역시 작아지는 것이다. 특히, 아파트 매매는 진입 장벽이 높은 만큼 수요자들이 주거형 오피스텔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1~2인 가구 수는 지난해 기준 1324만2337가구로 집계됐다. 비중은 전체 가구 수의 61.74
약 30년 후인 2050년에는 홀로 사는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40% 수준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비혼·독신 등으로 인해 1인 가구가 늘고 고령화가 빠르게 심화하면서다. 1인 가구 중 65세 이상의 가구주 비중도 절반을 넘을 것으로 예측됐다.
통계청은 28일 발표한 '2020~2050년 장래가구 추계결과'에서 총가구는 2020년 2073만
◇기획재정부
28일(화)
△부총리 10:00 국무회의(서울청사)
△기재부 1차관 10:00 국무회의(서울청사)
△기재부 2차관 10:00 경제교육관리위원회, 15:00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소상공인 등에 대한 국유재산 사용 부담완화 추가 연장(4차)(석간)
△제11차 경제교육관리위원회 개최
△2022년 제2차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개최
국민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한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방침을 놓고 논란이 거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소득이 줄었어도 건보료가 선정기준보다 높다면 지급대상에서 제외되고, 지급기준 보험료의 경계선에선 가구 간 소득 역전이 발생할 수 있어서다.
5일 기획재정부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건보료 하위 70% 가
국내 인구가 서울은 빠지고 세종과 제주는 유입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국내인구이동에 따르면 7월 이동자 수는 54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0.3%(2000명) 감소했다. 총 이동자 중 시도 내 이동자는 67.3%, 시도 간 이동자는 32.7%를 차지했다.
전년 동월대비 시도 내 이동자는 0.6% 줄고, 시도 간
2026년이면 전국 17개 시도에서 모두 1인가구가 부부+자녀 가구를 추월할 것으로 관측됐다. 2019년 전국 1인가구 비중이 부부+자녀 가구를 넘어선 후 7년 만이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가구추계 시도편에 따르면 국내 총가구는 22015년 1901만3000가구에서 2043년 2234만1000가구로 정점을 찍은 후, 2045년 2231만80
저출산 고령화가 맞물린 우리 사회에서 기존의 가족 구조가 급속도로 변화되고 있다. 1인가구가 급증하면서 불과 2년 뒤인 2019년에는 부부+자녀가구 비중을 역전할 전망이다. 또 2045년이면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가구가 전체 가구의 절반에 이를 것이란 관측이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가구추계(2015~2045년)에 따르면 2015년 총가구는
2035년 모든 시도에서 1인 가구가 부부+자녀 가구보다 많아질 전망이다.
통계청은 28일 ‘2010~2035년 장래가구추계 시도편’ 자료를 통해 2010년 전국 가구유형이 부부+자녀>1인>부부가구 순이나 2035년이 되면 모든 시도에서 1인 가구 비중이 가장 높아진다고 발표했다.
전남이 지난 2010년 가장 먼저 1인 가구 비중이 가장 높아졌으며
1인 가구가 꾸준히 늘어 이들을 위한 복지 지원과 주거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 조호정 선임연구원은 11일 '국내 1인 가구의 7대 구조적 특징' 보고서에서 통계청 장래 가구 추계 자료를 인용해 "1인 가구는 2000년 226만 가구에서 2030년 471만 가구로 늘어 전체 가구의 23.7%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7월 국회에서 통과된 방송법 시행령이 국무회의에 상정돼 의결됐다.
정부는 19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과천 정부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다. 시행령은 오는 21일 차관회의를 거쳐 이 대통령의 최종 제가를 받게 된다. 이후 22~25일경 관보에 개제될 예정이다.
방통위는 시행령이 오는 8월 1일부터 효력을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