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혼인 건수가 1년 전보다 2000명 늘면서 2011년 이후 12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코로나19 사태로 미뤄졌던 혼인이 늘고, 특히 내국인과 외국인 간 혼인이 3000건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은 전국의 시·구청 등에 신고된 혼인신고서와 이혼신고서를 바탕으로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혼인·이혼 통계'를 19일 발표
40대 초반 신부가 20대 초반 신부보다 많은 ‘만혼’ 트렌드가 통계에서 나타났다.
2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0대 초반(40∼44세) 여성의 혼인 건수는 1만949건으로 20대 초반(20∼24세) 1만113건보다 많았다. 지난해에 이어 4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건수가 2년 연속 2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건수를 웃돌았다.
신혼부부 감소세에 더해 초혼 신혼부부 중 유자녀 비중 하락세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 부부, 주택소유 여부와 관계없이 신혼부부들의 저출산이 고착화하는 상황이다.
통계청은 9일 발표한 ‘2020년 신혼부부통계’에서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최근 5년 이내에 혼인신고 후 국내에 거주하면서 혼인관계를 유지 중인 부부(이하 신혼부부)가 118만
“아들들이 일하러 나가라고 종용한다. 아이들의 잔소리 덕분에 엄마가 열심히 일했더니 이 상을 받았다.”
25일(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LA) 유니언 스테이션에서 진행된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영화 ‘미나리’로 한국인 최초 배우상(여우조연상)을 받은 노장 배우 윤여정(74)의 수상소감처럼, 한국의 여성들은 ‘육아’를 떼어놓지 않고는 ‘개인의 꿈’에
신혼부부 2쌍 중 1쌍은 혼인신고 5년 내에 ‘내 집’을 마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맞벌이 비중은 결혼 1년 차에서 2~3년 차에 접어들면서 급격히 하락했다.
통계청은 25일 발표한 ‘신혼부부 통계로 살펴본 혼인 후 5년간 동태적 변화 분석’ 자료에서 2014년 11월 1일부터 2015년 10월 31일까지 혼인신고한 초혼부부 중 5년간 국내에 거
지난해 기준으로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한 초혼 신혼부부가 처음으로 두 자릿수로 떨어졌다. 10명 중 4명은 아이가 없었고 10명 중 7명은 무주택자였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신혼부부가 더 줄어들 전망이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2019년 신혼부부통계'를 보면 2019년 11월 1일 기준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
지난해 결혼 건수가 19년 만에 가장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명 중 1명은 외국인과 결혼했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19년 혼인‧이혼 통계를 보면 지난해 혼인건수는 23만9200건으로 전년보다 7.2%(1만8500건) 감소했다. 이는 2000년 7.9% 감소한 이후 19년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또 2012년 0.6% 감소한
2018년 11월 기준으로 이전 5년간 혼인신고한 부부(국내)가 132만2000쌍으로 전년도보다 4.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곳은 수도권이 52.4%에 달했고 연간 평균 소득은 5504만 원이었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신혼부부통계 결과’에 따르면 신혼부부는 총 132만2000쌍으로 전년 대비 4.2
2018년 11월 기준으로 이전 5년간 혼인신고한 부부(국내)가 132만2000쌍으로 전년도에 비해 4.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곳은 수도권이 52.4%에 달했고 연간 평균 소득은 5504만 원이었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신혼부부통계 결과’에 따르면 신혼부부는 총 132만2000쌍으로 전년 대비 4
우리나라에서 집을 가진 신혼부부의 주택자산 가액이 평균 2억3900만 원으로 조사됐다. 맞벌이는 5000만~7000만 원을 벌고, 외벌이는 3000만~5000만 원을 버는 신혼부부가 가장 많았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으로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한 후 국내에 거주하면서 혼인관계를 유지 중인 신혼부부는 143만7000쌍으로
우리나라 여성의 월평균 임금이 지난해 187만 원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미혼 여성 10명 중 7명은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인식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7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 따르면 지난해 1인 이상 사업체의 여성 월평균 임금은 186만9000원으로 전년보다 8만8000원 늘었다. 남성 임금(291만8000원)의 64.1% 수
20년 이상을 함께 산 부부들의 황혼이혼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반면 초혼부부의 혼인건수는 감소세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과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17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 따르면 2016년 총 이혼건수 10만7300건 중 ‘20년 이상 함께 한 부부’가 이혼한 비중이 30.4%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4년 이하 함께 한 부부’의 비중이
경제활동을 하는 기혼여성의 소득이 클수록 경력이 단절되는 경우가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대적으로 육아 비용 측면에서 여유가 있어 경력단절을 막았다는 분석이다.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4년 혼인한 초혼부부 23만5000쌍 중 맞벌이 부부 비중은 2014년 49.7%(11만7000쌍)에서 2015년 44.4%(10만4000쌍)로 5.2%포인트
경제활동을 하는 여성의 소득이 높을수록 결혼과 출산 후에도 일을 계속하는 비중이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상대적으로 육아 비용 측면에서 여유가 있어 경력단절을 막은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신혼부부통계로 살펴 본 혼인 1년 후 동태적 변화 분석’에 따르면, 2014년 혼인한 초혼부부 23만5000쌍 중 맞벌이 부부 비중은 2014년
지난해 혼인이 28만1600건으로 1976년 이후 처음 30만 건 밑으로 떨어졌다. 이혼은 10만7300건으로 신혼부부와 함께 황혼 이혼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은 28만1600건으로 전년(30만2800건)보다 7.0%(2만1200건) 감소했다. 1974년(25만9100건) 이후
우리나라 신혼부부 10쌍 중 6쌍은 전세나 월세로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을 가진 신혼부부의 절반은 공시가격 1억5000만 원 이하의 집을 보유했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신혼부부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으로 최근 5년 이내 혼인한 신혼부부는 총 147만2000쌍으로 집계됐다. 이 중 초혼인 부부는 80.1%(117만9000쌍
지난 8월 OECD에서 발표한 한국인 남녀 기대수명은 평균 80세. 지난해 고용노동부가 밝힌 한국인의 퇴직 연령은 평균 53세. 특히 정년까지 일한 비율은 7.6%로 10명 중 1명도 채 되지 않는다. 전문가들은 100세 시대가 머지않은 만큼 은퇴 후 부부가 함께 여생을 보낼 시간이 길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대부분의 기혼자는 은퇴자금을 마련할 때 배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나이차에 따라 달라지는 부부의 은퇴설계'에 대해 분석한 '은퇴리포트 21호'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
부부의 나이 차이에 따라 은퇴 후 노후기간이 변하기 때문에 준비해야 하는 은퇴 자금도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기존 은퇴설계는 남편이 2~3세 연상인 부부와 아내의 기대여명만을 가정하고 있어 최근 다양해지는 혼인 연령 패턴을 반영하
지난해 부부 10쌍 중 약 2쌍(16.2%)은 여성이 연상인 커플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여성가족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15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 따르면 지난해 초혼부부의 총 혼인건수 23만 9000건 중 여성이 여상인 부부는 3만 9000건(16.2%)으로 동갑내기(16.1%)보다 많았다.
여성연상의 혼인건수가 남성연상의 혼인보다 구성비
○…지난해 서울의 초혼부부 중 15.5%는 여성이 연상, 남성이 연하인 경우로 나타났다는 소식이다. 20년 전보다 6.6%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까다로운 (연하)공주님 비위 맞추기보다는 내 형편 이해하고 너그러운 여자를 원하는 것”, “남녀불문 누가 연상이고 연하인 게 중요한 게 아니라 둘 다 속이 멀쩡해야 한다”, “연상이랑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