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국인 10만↓·상주 외인 18만↑…3년만 총인구 증가중국(한국계) 27.5%·베트남 12.8%·중국 11.4% 순1인가구 783만 '역대 최대'…고령가구·고령1인가구도 최대
지난해 국내 총인구가 내국인 자연감소에도 0.2% 증가했다. 저출산·고령화로 우리나라 인구는 줄어들었지만 3개월 이상 국내 상주 외국인이 역대 최대 규모로 증가하면서 내국인 자연감소
지난 20년간 수도권 등 국내 모든 권역의 도시 면적과 도시화율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소년 100명당 고령인구 수를 나타내는 노령화지수는 강원이 가장 높았다.
통계청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통계적 지역분류체계로 본 도시화 현황'을 26일 발표했다.
통계청 지역분류체계 작성은 인구 격자 표시 및 군집화(유형), 군집화 유형 분류, 통계적 지용
지난해 총인구 5169만2000명…전년보다 4.6만 명 감소생산가능인구 감소…65세 이상 고령인구 17.7% '역대 최대'인구 2명 중 1명 수도권 거주.…서울 인구는 32.4만 명 줄어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가 2년 연속 감소세를 지속했다.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줄어드는데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900만 명을 돌파했다. 저출산 심화 속 고령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가 저출산과 코로나19의 여파로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할 수 있는 생산연령인구는 줄고,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늘면서 4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3가구 중 1가구는 나홀로 사는 1인 가구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8일 발표한 2021년 등록센서스 방식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저출산·고령화로 2040년 내국인 생산연령인구가 2020년에 비해 907만 명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040년에는 우리나라 인구 3명 중 1명이 65세 이상 노인이고, 노년부양비는 2020년 대비 3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통계청은 14일 발표한 '2021년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내외국인 인구전망' 자료를 통해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배우자나 자녀도 없이 홀로 사는 노인이 166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인구 전체로 보면 5명 중 1명꼴이다.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되면서 이 같은 위험 가구가 급증할 수밖에 없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통계청은 지난달 29일 발표한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서 일반 가구(노인 요양시설 등 집단 가구 제외) 구성원 중
지난 20년간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이 대폭 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특별·광역시 이외의 도 지역에선 40대 인구 비중 감소 현상이 발생했고, 지역별 노령화지수에서도 차이가 드러났다.
1일 현대경제연구원은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지역 인구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인구는 2000년 4773.3만 명에서 2020
총인구 중 고령인구 비율이 1년 새 0.9%포인트(P)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유소년인구 대비 고령인구 비율도 큰 폭으로 올랐다.
통계청은 29일 발표한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서 지난해 11월 1일 기준 행정자료상 총인구(외국인 포함)가 5183만 명으로 전년보다 5만 명(0.1%) 증가했다고 밝혔다.
국적별로 내국인이 늘고, 외국인은
청년 유출과 고령인구 증가로 농촌 인구 절반이 만 65세 이상 노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50년 새 총 인구는 85%가 감소했고, 소득은 11% 증가했다. 다만 농업 소득의 비중은 절반으로 줄었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통계로 본 농업의 구조 변화'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인구는 224만5000명으로 이 중 65세 고령인구 비율은 46.6로 집계됐
우리나라의 총인구 감소 예상시점이 2029년으로 3년 전 추계보다 3년 앞당겨졌다. 저출산 추세가 악화하면 이르면 내년부터 우리나라의 총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통계청은 28일 이 같은 내용의 ‘장래인구특별추계(2017~2027년)’ 결과를 발표했다. 5년 주기로 작성·공표되는 장래인구추계는 직전 공표연도(2016년)의 5년 뒤인 2021년
저출산·고령화로 우리나라의 중위연령이 1년 새 0.6세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학생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8 한국의 사회지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총인구는 5163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18만9000명 늘고, 중위연령은 42.6세로 0.6세 높아졌다. 반면 학생 수는 가파르게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초
서울 중구는 내년 1월부터 지방자치단체로는 전국 최초로 ‘어르신 공로수당’을 신설해 지급한다고 6일 밝혔다.
관내 만 65세 이상 노인 중 기초연금 또는 기초생활수급자에게 구 차원에서 매월 10만 원씩을 추가 지원한다. 1만2800여 명이다. 중구는 이를 위해 156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보건복지부와 협의해 내년부터 수당을 지급할 계획이다
우리나라의 생산연령인구가 지난해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도 유엔이 정한 고령사회 기준인 14%를 넘어섰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7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총인구(외국인 포함)는 5142만 명으로 전년 대비 15만 명(0.3%) 증가했다. 서울·인천·
우리나라에서 홀로 사는 65세 이상 고령자 10명 중 7명은 노후를 준비하고 있지 않다는 통계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런 상황에서 연간 고령자 1인당 진료비는 평균 380만 원을 넘고 있어, 향후 독거노인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이란 우려감을 낳고 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17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전체 인구 5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15세 미만 유소년인구를 역전했다. 아파트는 처음 1000만 호를 넘어섰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16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2016년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총인구(외국인 포함)는 5127만 명으로 집계됐다. 내국인 4986만 명, 외국인 141만 명(2.8%) 규모다.
이는 2015년 5
2045년이면 전남의 총부양비가 117명에 이를 전망이다. 경북과 강원, 전북도 100명을 넘을 것으로 예측됐다. 총부양비는 15~64세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14세 이하 유소년과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를 말한다. 총부양비 급증은 유소년이 아닌 고령자 부양이 늘어난 데 따른 결과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시도별 장래인구추계(2015~204
10년 후 우리나라에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1000만 명을 돌파할 전망이다. 15~64세에 해당하는 생산가능인구는 내년부터 마이너스로 전환된다.
8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총인구는 지난해 기준 5101만 명에서 증가하다가 2031년 5296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이후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해 2065년에는 4302만 명으로
30년 전보다 우리나라의 유소년인구는 518만 명 감소하고 고령인구는 482만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지난해 실시한 2015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한국의 인구구조는 30대 미만과 60대 이상이 적은 ‘항아리형’ 인구피라미드로 나타났다. 55년 전인 1960년의 연령별 구조는 전형적인 피라미드 형태
인구 8명 중 1명은 65세 이상 노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5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13.1로 10년 전(2005년)보다 약 200만명 증가한 662만4000명이며, 2060년에는 40%대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준고령(50~64세) 인구는 약 10년 후인 2024년까지 증가 후
“늙었다는 것은 이제껏 입어본 적 없는 나무로 된 옷을 입는 것과 같다.” (시인 시어도어 로스케)
우리 사회의 노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산업인력의 노령화가 잠재적 경제성장률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그러나 우려 속에서도 재계의 관심은 노령인구 증가에 쏠리고 있다. 이제 노령층을 위한 새로운 시장을 열기 위한 준비에 속속 착수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