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 진입한 대한민국, 생산가능인구 ‘첫 감소’

입력 2018-08-27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령인구 비율 13.6%→14.2%…"일본은 24년, 우리나라 17년 걸려"

▲연도별 유소년인구, 생산연령인구 및 고령인구 추이(1995~2017년).(자료=통계청)
▲연도별 유소년인구, 생산연령인구 및 고령인구 추이(1995~2017년).(자료=통계청)

우리나라의 생산연령인구가 지난해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도 유엔이 정한 고령사회 기준인 14%를 넘어섰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7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총인구(외국인 포함)는 5142만 명으로 전년 대비 15만 명(0.3%) 증가했다.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인구는 2552만 명으로 13만 명(0.5%) 늘며 전체 인구의 49.6%를 차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전체 인구의 25.0%(1285만 명)로 가장 많았다.

연령별로는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2016년 3631만 명에서 3620만 명으로 처음으로 감소했다. 내국인의 중위연령은 42.4세로 0.6세 증가했다.

특히 고령인구 비율이 13.6%에서 14.2%로 상승했다. 유엔은 고령인구 비율 7% 이상을 고령화 사회, 14% 이상을 고령사회, 20% 이상을 초고령사회로 본다. 시·도별로는 세종시를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고령인구 비율이 상승했다. 연령대별로는 95~99세가 15.3%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고, 100세 이상(12.1%), 85~80세(8.7%)가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의 고령사회 진입 속도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 빠른 수준이다. 양동희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우리나라는 2000년 7.3%에서 2017년 14.2%로 17년 만에 고령인구 비율이 14%를 넘어섰는데, 일본은 1970년에서 1994년까지 24년이 소요됐다”고 설명했다.

노령화지수(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도 2016년 100.1에서 지난해 107.3으로 7.2포인트(P) 상승했다. 2000년 35.0에 불과했던 노령화지수는 저출산에 따른 유소년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매년 상승 중이다. 지난해 고령인구는 711만 명으로 유소년인구(663만 명)보다 48만 명 많았다.

우니나라의 인구 고령화는 가구 통계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일반 가구의 가구원 수 규모별로 1인 가구 비중이 27.9%에서 28.6%로 0.7%P 상승했는데, 60대 1인 가구가 전년 대비 7만 가구 증가하며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가구주의 중위연령도 51.7세로 0.4세 높아졌다.

일반 가구 중 65세 이상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521만 가구로 전체의 26.5%를 차지했다. 이는 2016년과 비교해 19만 가구(0.6%P) 증가한 규모다. 고령자만으로 이뤄진 가구는 240만 가구(12.2%)로 15만 가구(0.6%P), 고령자 1인 가구는 137만 가구(7.0%)로 8만 가구(0.3%P) 증가했다.

한편 국내 외국인은 148만 명으로 7만 명 늘며 총 인구의 2.9%를 차지했다. 국적별로는 중국계 외국인이 전체의 49.0%(73만 명)을 차지했다. 전년과 비교해서는 베트남(1만4000명↑), 중국(1만 명↑) 국적 외국인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50만 명(33.6%)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23만 명, 23.3%), 경남(9만 명, 6.2%)이 뒤를 이었다. 2016년과 비교하면 제주(16.7%↑), 인천(10.2%↑), 광주(9.9%↑)에서 큰 폭으로 늘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다 상술인건 알지만…"OO데이 그냥 넘어가긴 아쉬워" [데이터클립]
  • ‘2025 수능 수험표’ 들고 어디 갈까?…수험생 할인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백신 음모론’ 펼친 케네디 주니어, 보건부 장관 임명
  • 삼성전자, 'CES 2025' 최고 혁신상 4개 포함 29개 대거 수상
  • 北 김정은, 자폭공격형 무인기 성능시험 지도…‘대량 생산’ 지시
  • 韓 환율관찰 대상국 재지정…“국내 채권시장 최악의 시나리오, 환율 상향 고착화”
  • “증거 인멸 우려” 명태균·김영선 구속…검찰 수사 탄력
  • 프리미어12 한국 대표팀, 오늘 일본과 B조예선 3차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11.15 09:4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519,000
    • -1.68%
    • 이더리움
    • 4,387,000
    • -3.01%
    • 비트코인 캐시
    • 595,500
    • -4.11%
    • 리플
    • 1,133
    • +16.44%
    • 솔라나
    • 301,700
    • -0.69%
    • 에이다
    • 838
    • +2.57%
    • 이오스
    • 796
    • +2.58%
    • 트론
    • 253
    • -0.39%
    • 스텔라루멘
    • 189
    • +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0,900
    • -0.11%
    • 체인링크
    • 18,640
    • -1.74%
    • 샌드박스
    • 390
    • -2.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