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국 집합건물(아파트·빌라·오피스텔) 증여 건수가 17개월 내 최저 수준으로 줄었다. 일반적으로 부동산 증여는 가격 하락기에 늘어난다. 최근 전국 아파트값 상승세가 한풀 꺾였지만 집합건물 증여가 줄어든 것은 앞으로 집값이 오를 것이란 기대감이 시장 내 여전한 것으로 해석된다.
24일 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 분석 결과 지난달 전국 집합건물(아파트
부동산 전문가들은 정부와 한국은행이 ‘금리’를 수단 삼아 집값을 제어하기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되려 ‘추가 대출 규제가 나오기 전에 집을 사야한다’는 잘못된 신호를 시장에 전달할 수 있는 만큼 국내외 거시경제 상황과 함께 움직이는 기준금리 정책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26일 정부와 한국은행의 금리 정책과 관련해 최황수 건국대 부동
“저희도 그간 경험해보지 못한 희한한 상황입니다.”
한 달 새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많게는 다섯 번, 적어도 두 번 이상 올린 시중은행 관계자들의 하소연이다. 시장금리는 낮아지고 있는데 거꾸로 은행 대출금리를 줄줄이 올리게 된 경위를 설명하려다 보니 이들도 딱히 설명할 방법이 없는 모양이다.
그렇다고 갑작스럽게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
전국 주택 매매심리지수가 4개월 연속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주택 매매심리는 지난해 12월 이후 7개월 연속 올랐다. 전세와 토지시장 소비심리는 지난달에 이어 소폭 올랐지만, 주택 전세시장은 ‘보합’, 토지는 ‘하락’ 시장 상황을 지속했다.
16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7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기준 주택매매시장 소비
하반기 수도권에서 대형 건설사들의 ‘분양대전’이 펼쳐질 예정이다. 우수한 입지에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 단지가 공급되는 만큼 치열한 청약 경쟁이 예상된다.
2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대형 건설사의 수도권 분양 물량은 2만1371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상반기 분양 물량 1만1592보다 약 84% 증가한 물량이다. 최근 부동산 시장이 바닥을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로 나라가 들끓고 있다.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 티몬과 위메프가 입점 점주들에게 판매 대금을 주지 못하면서 사달이 났다. 정부는 판매대금을 받지 못한 중소기업·소상공인 판매자를 대상으로 5600억 원 규모의 유동성을 투입하기로 했다. 티몬과 위메프는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경찰은 모기업인 큐텐의 구영배 대표에 대해 긴
한은, 26일 ‘2024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 발표금융위, 하루 전날 스트레스DSR 2단계 도입 7→9월로 늦춰“부동산가격 상승·정책금융 증가 등 가계대출 증가 우려”“스트레스DSR 2단계 연기, 취약계층 지원대책 마련 등 고려 미세조정으로 이해”“금융당국과 가계부채 관리 기조 변한 것 아냐…정책당국과 의견 같아”
가계부채를 놓고 한국은행의 고민이
아파트값 선행지표 격인 주택담보대출과 거래량이 모두 들썩이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규모는 올해 들어 두 달 연속 급증했고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월에 이어 2월에도 전년 대비 늘어날 전망이다. 각종 지표가 집값 상승 방향을 가리키는 가운데 서울 내에선 지역별로 아파트값 상승 전환 지역도 속속 등장하는 등 반등 기대감이 확산하고 있다.
17일 한국은행과 금
한은, 14일 ‘2024년 3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 발간작년 11월부터 올해 2월 기간, 통화정책방향 결정 내용 반영“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완만한 하락 추세 전망”“주택시장 전개 양상 등 가계대출 흐름 불확실성 매우 높아”
지난해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율이 감소 전환했던 2022년을 제외하고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한은이 14일 발표한 ‘2024년
올해 등급 하향의 최대 우려 업종으로 꼽은 건설업에서 또 한 번 신용도 하락이 발생하면서 시장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5번째 등급 하향으로, 신용평가업계에서는 국내 부동산 시장이 향후 2년 이내에 크게 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3일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나이스신용평가와 나이스신용평가는 이날 쌍용C&E(씨앤이)의 무보증
석유화학·건설·디스플레이·유통, 산업전망 ‘비우호적’…신용등급 전망 ‘부정적’롯데·태영·GS·신세계건설·HDC현대산업개발·한신공영 주요 모니터링 필요
올해 건설을 비롯해 석유화학, 디스플레이, 유통업종 등의 산업전망과 신용등급 전망이 어두울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는 올해도 여전히 주요 신용등급 리스크로 부각되면서 기업들
집값 약세장이 본격화한 가운데 지방 청약시장이 식고 있다. 지방에선 최근 한 달 사이에 실수요자들의 주택 매수심리가 빠르게 식으면서 실수요자들이 등을 돌리고 있다. 반면 수도권은 여전히 단지 경쟁력이 있는 곳에 수만 명이 청약통장을 던지면서 경쟁률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등 지방과 정반대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
3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달
아파트분양전망지수가 3개월 연속 하락했다. 금리 급상승, 경기 위축 우려에 따른 주택매수 심리 위축과 건설원가 상승이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7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1월 분양전망지수는 전국 평균 13.4p 하락한 70.4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석 달 연속 내림세다.
수도권은 10.2p 하락한 91.8
최근 분양시장이 온기를 띄기 시작하면서 미뤘던 분양에 나서는 곳이 늘고 있는 모양새다. 서울에서는 올해 들어 가장 많은 분양 물량이 풀린다.
1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8월 전국에서는 37개 단지, 총 3만407가구(임대 포함)가 분양에 나선다.
5~7월 분양 단지가 없었던 경북과 전남에서도 분양이 시작된다. 전국 17개 시도 중
최근 청약시장에서 가격 안정성이나 교통, 일자리 등 개발호재 갖춘 곳만 흥행하는 양상이 이어지고 있다. 고금리에 매수심리 저하 이어지자 실수요자가 합리적 단지만 찾으면서다.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지방은 내림세가 이어지고 있고 주택 매수 심리도 좀처럼 되살아나지 않는 상황이다. 이에 가격 하락에서도 비교적 안전한 단지를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풀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다시 회복 조짐을 보이면서 국내 주요 주택 연구기관들은 하반기 수도권 주택시장이 최소 보합 이상을 기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분양시장 역시 매달 미분양 물량이 감소하고, 수요자 심리도 개선되고 있어 장밋빛 전망을 내놓고 있다.
10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지표로 보는 건설시장과 이슈’ 보고서에 따르면
KRX 건설지수 올해 들어 40.20%↑부동산 시장 회복‧해외 수주 기대감에 상승세
부동산 경기 침체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부진했던 건설주가 최근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 건설지수는 올해 들어 40.20% 상승한 735.99에 거래를 마감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 상승률(16.96%)보다 23.24%포인트(p)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심리가 소폭 반등했다. 2월에 이어 지난달에도 시장 소비 심리가 회복됐지만, 상승 폭은 크게 줄었다.
17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3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기준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3.6으로 전월(102.1) 대비 1.5포인트(p) 올랐다. 2월 기준 전국 주택 매매시장 심리지수는 지난해
최근 지방광역시 부동산 시장이 점차 회복 신호를 보이고 있다.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상승세로 돌아섰고, 최근 분양한 단지는 좋은 청약 성적을 거두고 있다.
14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2월 기준 5대 광역시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8672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2월 집계치인 6011건 대비 44% 오른 수치다. 지역별로 △광주 1000
집값 내림세가 계속되자 실수요자들이 하락장에서도 집값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적은 단지 찾기에 나섰다. 금리 인상 등의 이유로 주택 매수 심리가 위축되자 집값 하락에서 비교적 안전한 단지를 찾는 것이다.
28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전국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는 78.8을 기록했다. 이는 해당 통계가 집계를 시작한 2011년 7월 이후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