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가 제약·바이오 분야의 지식재산권 남용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 작업에 착수했다.
20일 공정위와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시장감시국은 제약 분야의 특허분쟁 과정에서 제네릭(복제약)의 개발·출시가 지연·중단된 사례를 파악, 분석 작업에 들어갔다. 현재 분석 대상의 업체는 다국적 제약사 39개사·국내 제약사 32개사 등 총 71개 제약
공정거래위원회가 다국적제약사와 국내제약사간 뒷거래를 통한 제네릭 고의 지연 행위를 집중 감시한다. 업계에서도 약가제도의 변화, 허가특허연계제도 도입 등의 영향으로 은밀한 뒷거래 가능성이 있다는 시각이 팽배하다.
공정위는 지난 26일 제약사의 경쟁제한 행위에 대한 실태점검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공정위가 겨냥하는 경쟁제한 행위는 '역지불 합의'(pay-fo
공정당국이 화이자·노바티스 등 71개 국내외 제약사를 상대로 조사에 나선다. 오리지널 제약사와 복제약 제약사 간 ‘역지불합의(pay for delay)’로 지난 10년간의 특허 라이선스 관행을 들여다볼 계획이다.
역지불합의는 의약품 원천 특허를 보유한 오리지널 제약사가 복제약 제약사에게 대가 등을 지급하면서 복제약품의 시장 출시를 지연시키는 행위를 말
공정거래위원회가 올해 제약사간 뒷거래를 통한 복제약(제네릭)의 고의 지연 행위를 집중 감시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5일 공정위는 기술선도자의 독점력 남용행위 감시 강화 내용을 담은 2017년 업무계획을 대통령 권한대행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의약품 산업의 경우 제네릭 출시를 제한해 국민들의 약값 부담을 가중시키는 ‘역지불합의’에 대한 집중 점검이 진행된
최근 한 대기업은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장지배적 지위’를 남용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법무법인 광장은 심의 단계에서 공정위 주장을 반박했고, 공정위는 이를 받아들여 해당 기업이 시장지배적 지위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을 인정했다. 기업 입장에서는 거액의 과징금을 부과받을 수 있었던 상황을 모면한 셈이다.
광장 공정거래팀의 정환(47·사법연수원 24기)
소비자시민모임은 24일 제약사 3곳을 대상으로 환자들이 제기한 리베이트 손해배상소송 판결과 관련해 "제약사 대상 리베이트 감시활동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이며 심히 유감스럽다"고 입장을 밝혔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31부(오영준 부장판사)는 지난 23일 대웅제약, 동아제약, JW중외제약 등 제약사 3곳을 대상으로 환자 9명이 제기한 의약품 리베이트로 인한 손
동아제약이 다국적 제약회사 글락소 스미스클라인(GSK)와의 담합 혐의로 과징금을 부과받았던 동아제약이 공정위를 상대로 한 소송에서 일부 승소했다.
서울고법 행정6부(부장판사 안영진)는 31일 동아제약이 공정거래위원회를 상대로 낸 시정명령 등 취소청구의 소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했다.
앞서 GSK는 동아제약과 별도로 과징금 취소 소송을 제
법원이 신약 특허권자인 다국적제약사가 국내 복제약사에게 경제적 이익을 제공해 복제약 출시를 차단한 행위에 대해 공정거래법을 적용한 ‘역지불(逆支拂)합의’를 법원이 인정했다. 국내에서 법원이 역지불합의를 인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고등법원 제7행정부는 GSK가 담합 등의 사유로 과징금 30억원을 부과한 공정거래위원회를 상대로 제기한 시정명령 등 취
다국적제약사 GSK(글락소스미스클라인)가 복제약 출시를 막은 혐의로 거래위원회의 과징금 처분을 내린데 대해 “항소하겠다”며 즉각 반박에 나서 향후 추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3일 항구토제인 신약 조프란의 특허권을 가진 GSK가 특허권을 남용해 복제약 제조사인 동아제약과 담합한 사실을 적발해 GSK에 30억4900만원, 동아제약에 21
동아제약과 다국적제약사 글락소 스미스클라인(GSK)이 짬짜미를 통해 저렴한 항구토제를 판매하지 못하도록 한 것으로 드러났다. 항구토제는 항암치료 시 종종 나타나는 부작용인 구토증세를 완화하기 암환자들이 주로 복용하는 약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3일 GSK와 동아제약의 이 같은 담합행위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총 51억7300만원을 부과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