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펀드에 간접적으로 투자해 손실을 봤다면 운용사는 물론 최초 해당 사업을 주도한 투자신탁회사에도 배상책임이 있다는 대법원의 판단이 나왔다.
22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1부(주심 이기택 대법관)는 지난달 27일 신용협동조합이 대신자산운용, 코레이트자산운용(옛 마이애셋자산운용)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 판결한 원심
특수 부동산 투자전문그룹인 한미금융그룹이 NPL 총괄 본부장에 김영제 전무를 영입했다고 1일 밝혔다.
김영제 전무는 대신 AMC와 마이애셋에서 NPL 총괄 본부장을 지내며 20년간 특수 부동산 전문가로 성공적인 NPL투자를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미금융그룹은 보유부동산 매각 및 리파이낸싱을 통해 상반기 중 500억이상의 여유자금을 확보해 건당
마이애셋자산운용은 이번 달부터 코레이트자산운용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새출발을 시작한다고 1일 밝혔다.
새 사명은 올해 8월 최대주주가 된 한국토지신탁의 영문명(KOREIT) 을 따서 만들었다. 한국토지신탁은 올 4월 기존 대주주 등으로부터 지분 약 63.4%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 이후 7월 대주주적격심사에 통과하면서 코레이트자산운용을 계열사로 편입했다
마이에셋자산운용은 12일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열고 이현수 부회장을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이현수 신임 대표이사는 중앙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89년 한국상업은행을 통해 금융업권에 입문했다. 이후 증권사, 신용평가사, 창업투자사, 벤처캐피탈, 투자자문사, 자산운용사 등 다양한 금융 분야에서 실무능력을 쌓았다. 마이에셋자산운용에서
금융감독원이 소규모펀드 정리 실적이 미흡한 자산운용사 17곳의 신규 펀드 등록을 제한한다.
12일 금융감독원은 3월 말 기준 전체 공모추가형 펀드 2009개 대비 소규모펀드가 458개로 전체의 22.8%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1월 ‘소규모펀드 해소 방안’을 발표하고 3월 목표치로 잡은 19%에 미달하는 수준이지만 지난해 6월 말 36.3%와
한국토지신탁(이하 한토신)이 NPL(부실채권)운용 분야 1위인 종합자산운용사 마이애셋운용의 새 주인이 됐다.
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국토지신탁은 지난 8일 강상규 대표 등 최대주주가 보유한 마이애셋자산운용의 지분 65%를 인수하는 SPA(주식매매계약체결)를 체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토신이 마이애셋운용과 SPA를 체결한 만큼, 향후 금
올 상반기 자산운용사들의 국내 주식형 평균 성과를 살펴보면 종목 선정에서 두각을 보인 중소형사들과 외국계운용사들의 선전이 돋보였다.
1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최근 6개월 기준 국내주식형 운용 평균 성과가 가장 우수한 국내주식형 펀드 운용사들 최상위 TOP 10에 진입한 운용사는 현대인베스트먼트(40.89%), 메리츠(29.67%),마이애셋(2
에스크베리타스자산운용이 대체투자사업(AI)을 강화하기 위해 사명을 교체하고 전문가 영입에 발 벗고 나섰다.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에스크베리타스자산운용은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AV자산운용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사명변경과 함께 대체투자사업 역량강화를 위해 안종진 전 신영증권 금융자산영업 담당임원을 부사장으로 영입한 것.
안 부사장은 1988
그동안 부동산운용 부문에서 두각을 보였던 에스크베리타스자산운용이 NPL(Non Performing Loan 부실채권)운용본부를 신설하고 대체투자 강화에 나선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에스크베리타스운용은 지난 4일자로 NPL운용본부를 신설 조직 개편하고 관련 사업에 본격적인 출사표를 던졌다.
신설 된 NPL운용본부장에는 마이애셋자산운용 김삼현 NPL
올 1분기 펀드시장 성과의 특징은 국내주식형은 ‘중소형 운용사들의 약진’, 해외주식형은 양적 완화에 힘입은 ‘유럽 펀드의 뒷심’, 후강퉁, 선강퉁 시대 수혜가 본격화된 ‘중국본토펀드의 강세’로 요약된다.
국내 펀드 자금 유출입 측면에서 기준금리 1% 시대가 진입함에 금리 이상의 안정적 수익률을 기록하는 국공채를 비롯해 국내주식 비중 40%에 달하는 중위험
펀드시장 보릿고개가 심화되면서 중소형 운용사들이 기존 사업 영역 외에 새로운 사업 분야로 눈길을 돌려 주목된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마이애셋자산운용은 지난 6일자로 중국금융당국으로부터 RQFII(위안화적격외국인투자자) 라이센스를 획득했다.
기존에 국내 주식형펀드와 NPL 투자로 명성을 떨치던 마이애셋운용은 이번 RQFII 획득을 계기로 리테일
중소형 운용사들이 부진한 펀드 시장 업황을 쇄신하자는 차원에서 ‘새둥지 틀기’ 바람을 선택해 이목이 쏠린다.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 초까지 사옥을 이전한 운용사들은 현대, JB, 마이에셋운용 등이 꼽힌다.
2008년 출범직후 서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영업을 하던 현대자산운용은 지난해 11월 서여의도에 위치한 중소기업중앙회로 새
증권업계가 불황에 시달리면서 높은 이직률을 보였던 펀드매니저들의 이동이 잦아들고 있다.
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54개 자산운용사에서 일하는 펀드매니저 601명의 평균 근무기간은 5월초 기준 4년12개월 인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5월초 4년7개월이었다는 점과 비교했을때 5개월 늘어난 수치다.
펀드매니저의 평균 재직기간은 지난 2010년 3년6개월
하이일드펀드가 상품 관련 제도를 마련한 지 2개월여만에 설정액 1200억원을 돌파했다. 분리과세 하이일드 펀드는 자산의 60% 이상을 채권에 투자하고 동시에 30% 이상을 비우량채권이나 코넥스시장 상장주식에 투자하는 펀드로 조세특례제한법령 개정으로 지난 4월 도입됐다.
8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는 4월부터 공모·사모펀드가 순차적으로
펀드시장 침체가 장기화 되면서 펀드매니저들의 평균 근속연수도 과거 대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업황 침체로 과거처럼 펀드매니저 인력 쟁탈전이 치열하지 않은데다 팀 포트폴리오 운용 체제 등이 도입돼 매니저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24일 한국금융투자협회 펀드매니저 공시에 따르면, 2월 초 기준 국내외 54개 운용사에서 공모 펀드를
‘치고 빠지기’(단타매매)가 잦은 자산운용사들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매매를 적게 하는 회사들보다 수익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금융투자협회와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설정액 200억원 이상 36개 운용사의 지난 3분기 말 매매 회전율은 183.36%를 기록하고 있다. 이들 운용사의 1년 수익률(액티브기준)은 -0.2%다.
이 가운데 매매회전율이
운용사들이 리서치센터를 신설하고 운용능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운용사들이 리서치센터 강화에 나선 이유는 증시 침체와 업황 부진 속에 MP(모델포트폴리오)운용 체계 도입을 도입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통상 MP는 펀드매니저들이 운용할 때 일정 부분 반영해야 하는 운용사 차원의 종목 가이드 라인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리서치센터를 신설하
CXC의 아이엠투자증권 인수가 사실상 무산되면서 중소형증권사들의 인수합병(M&A)도 고전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지난 7월 CXC는 아이엠투자증권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예금보험공사와 양해각서(MOU)를 맺고 실사작업을 벌여왔으나 최근 MOU가 해제됐다.
예금보험공사측은 “사실상 MOU가 해제돼 CXC와 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