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잡히는 어류 중 숭어만큼 이름이 다양한 생선도 드물다.
숭어, 가숭어, 보리숭어, 참숭어, 밀치, 모치, 동어 등 지역과 크기에 따라 수십 가지의 다른 이름이 있다.
이름이 다양하다는 것은 여러 지역에서 잡히기도 했고, 여러 방법으로 식용했다는 뜻이다.
전라남도 서해안 지방에서는 보리가 익을 때인 5, 6월경에 잡힌
문어 때문에 곤욕을 치른 선조들
세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홍여방(洪汝方)은 경상도 감사 재임 시절, 진헌(進獻)하는 문어가 정결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3년 후 다시 임용되기는 하지만 요즘으로 치면 도지사에 해당하는 고위 관료가 문어 하나 때문에 관직을 잃었던 것이다.
세종 때 좌의정까지 오른 신개(申 )도, 대사헌 재임
경기 잡가 중 ‘곰보타령’이라는 노래가 있다. 여러 물고기를 나열하면서 익살맞은 노랫말을 이어나가는데, 그중 “뛴다 뛴다 어룡소룡(魚龍小龍) 다 뛰어넘어 자빠 동그라지고 영의정 고래 좌의정 숭어 우의정 민어”라는 대목이 나온다. 물고기 중에서 으뜸가는 물고기가 고래, 숭어, 민어라는 것이다. 이 중에서도 민어는 조선 사람들이 먹는 물고기로 첫손가락에 꼽
신고산의 처녀와 궁초댕기의 총각
“신고산(新高山)이 우르르 함흥차(咸興車) 가는 소리에 구고산(舊高山) 큰애기 반봇짐만 싸누나”로 시작되는 ‘신고산타령’이란 함경도 민요가 있다. ‘신고산타령’의 노랫말은 경원선과 함경선이 개통되자 함경남도 도청 소재지였던 함흥으로 봇짐을 싸서 떠나는 산골마을 처녀의 안타까운 사연을 표현한다. 노래 속의 처녀가 왜
정조 임금도 먹고 싶어 했던 게탕.
조선의 제22대 임금 정조(正祖)는 정민시(鄭民始, 1745~1800)를 총애했다. 정민시는 세자 시절부터 정조를 보필했지만, 정조가 임금이 된 다음에도 자기 분수를 지켜 죽을 때까지 정조의 신임을 받았다. 홍국영이 정조의 총애를 받다가 이른 시기에 쫓겨나 울화병으로 죽은 것과 비교해보면, 정민시는 내공이 상당히 깊
조선시대엔 포와 젓갈과 비료로 쓰였지만
동해나 남해에서 열기(불볼락)낚시를 하다 보면 아주 가끔 멸치란 녀석이 자기 대가리보다 긴 미끼를 따먹다가 낚일 때가 있다. 검은 눈을 애잔하게 반짝이며 낚시 바늘에 대롱대롱 달려 있는 멸치를 보면 낚시꾼은 황당하다. 낚시꾼의 입장에서 보면 멸치는 생선 같지도 않은 하찮은 녀석인 것이다.
그러나 멸치는 놀
목은 이색이 그리워한 맛
공자께서는 “군자는 도를 추구하지 먹을 것을 추구하지 않는다[君子謀道不謀食, ‘논어’]라고 하셨지만, 군자도 맛있는 것 앞에는 어쩔 수 없는 경우가 왕왕 있다. 경북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외가에서 태어난 목은 이색(李穡,1328∼1396)은 ‘잔생(殘生)’이란 시에서 “얼마 남지 않은 인생 입과 배만 생각하니[殘生唯口腹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애환이 담긴 대표적인 토속 민요이다. 수많은 아리랑이 있지만 아리랑의 원조 격으로 대접받는 것이 바로 정선 아리랑이다. 정선 아리랑 중에, “우리 집에 서방님은 떼를 타고 가셨는데/황새여울 된꼬까리 무사히 지나가셨나//황새여울 된꼬까리 다 지났으니/만지산 전산옥이야 술상 차려놓게”라는 구절이 있다. 산문으로 풀이를 하면 “우리 집 남편
작고한 소설가 박완서의 작품 중에 ‘우황청심환’(1991)이라는 단편소설이 있다. 이 소설은 중국과의 국교가 정상화되면서 중국 동포들이 각종 중국산 약재를 ‘보따리’로 들고 들어와 한국에서 팔아 돈을 챙겨 간다는 이야기다. 이 보따리 속에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우황청심환이었다. 당시 우황청심환을 비롯한 중국산 약재가 한국인들에게 인기가 높아 중국에 가
1901년 11월 12일 대한제국의 황태자(훗날의 순종)는 아버지 고종 황제에게 상소를 올린다. 다음 해가 고종이 망육(望六: 60세를 바라보는 나이인 51세)이며, 보위에 오른 지 40년이 되는 해니 성대한 잔치를 벌이자는 내용이다. 고종은 “백성들에 대한 일이 황급하니 진실로 이처럼 여유로운 일을 할 겨를이 없다”며 점잖게 황태자의 청을 거절한다(이하
요절한 천재 시인으로 불리는 故기형도는 만 30년을 채 살지 못했다. 그는 1989년 3월 7일 새벽 3시 30분, 종로 3가 파고다 극장의 한 좌석에서 29세의 나이로 갑작스레 세상을 떠났다. 죽음에 경중이 어디있겠냐마는 젊음의 죽음은 더 비릿한 피비린내를 가져오는 법이다. 그의 죽음은 유난했다. 갑작스러웠고, 슬펐고, 그래서 믿기지 않았다.
위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