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5월 누계 혼인 건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7% 증가했다. 문제는 추세다. 인구요인 등을 고려할 때 혼인 증가세가 앞으로도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
2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5월 혼인 건수는 9만3117건으로 전년 동기보다 8.7% 늘었다.
최근 혼인 증가에는 다양한 요인이 얽혀있다.
먼저 인구 효과가
지난해 늘어난 취업자 중 여성의 비중이 90% 이상을 차지해 남성을 크게 압도했다. 여성 취업자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23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최근 고용 흐름의 3가지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늘어난 취업자 32만7000명 중 여성이 30만3000명으로 92.7%를 차지했다. 최근 3년 간(2021~2023년)
11월 취업자가 60만 명 넘게 늘었지만, 증가 폭은 6개월 연속으로 둔화세를 이어갔다. 전체 취업자 10명 중 8명은 60세 이상 고령층이었고, 청년층 취업자는 21개월 만에 감소로 전환했다.
통계청은 14일 발표한 '2022년 11월 고용동향'에서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42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62만6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달
인천에 거주하는 정민희(24·여·가명) 씨는 최근 ‘짧았던’ 공무원시험 준비를 끝냈다. 지금은 공기업·사기업 취업 준비를 병행 중이다. 정 씨는 “실패하더라도 나에게 남는 공부를 하고 싶었는데, 공무원 시험 준비는 그저 공무원이 되는 것만을 위한 공부란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청년층(15~29세)에게 ‘탈(脫) 공직’은 새로운 트렌드다.
6일 통계청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과 관련해 "민간 일자리가 크게 확대되고 청년층·상용직 중심의 뚜렷한 개선세가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다만, 도소매업, 일용직 등 코로나19 피해업종·계층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어 향후 상황 변화에 대해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홍남기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고용동향과 관련해 "제조업, 비대면·디지털 전환 관련 업종 등 민간부문이 고용 개선을 주도했다"고 평가했다.
홍남기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주재하면서 "전일제, 상용직 등 양질의 일자리 위주로 개선돼 고용의 질적인 측면에서 개선세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30대 ‘고용의 질’ 악화가 가파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을 전후해 정규직 비중이 급격히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투데이가 15일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30대 고용률은 76.0%로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보다 0.7%P 축소됐다.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비중은 85.5%에서 85.3%로 0.2%P
12월 취업자가 10개월 연속으로 증가세를 이어가는 등 고용 회복세가 지속된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방역 조치 강화로 도소매업 등의 취업자가 감소했다. 30대 취업자 수는 22개월 연속으로 줄어들었고, 60대 이상 실업자도 증가했다.
통계청은 12일 발표한 '2021년 12월 고용동향'에서 지난달 취업자 수가 2
11월 취업자가 9개월 연속으로 증가세를 이어가는 등 고용 회복세가 지속된 가운데, 위드코로나에 따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의 여파로 도소매업·숙박음식점업 등 대면업종의 취업자가 감소했다. 30대 취업자 수는 21개월 연속으로 줄어들었고, 40대 취업자는 6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통계청은 15일 발표한 ‘11월 고용동향’
통계청, '2021년 10월 고용동향' 발표30대 취업자는 20개월 연속 감소자영업자 고용 불황도 여전…도소매업 취업자↓'직원 둔 사장님'도 35개월 연속으로 감소세
10월 취업자가 8개월째 증가하고 실업률도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고용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서 다소 벗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30대 취업자가 2
고용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서 점차 벗어나는 모습이다. 취업자는 2개월 연속 60만 명대 증가를 이어갔고, 실업률도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다만 30대 취업자는 20개월째 하락세를 보였고, 도·소매업 취업자도 크게 줄었다.
통계청은 10일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서 지난달 취업자 수가 2774만1000명으로 전년
2분기 16개 시·도(세종 제외)에서 모두 서비스업생산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도 7년여 만에 마이너스로 꺾였다.
통계청은 6일 발표한 ‘2020년 2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에서 2분기 전국 서비스업생산이 전년 동기보다 3.4% 감소했다고 밝혔다. 모든 시·도에서 감소한 가운데, 제주(-12.9%), 인천(-11.6%), 부
올해 반도체를 중심으로 제조업 경기가 반등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고용 전망은 여전히 어둡다.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가팔라지는 데 더해 건설업 투자 부진도 지속할 것으로 예상돼서다.
2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취업자 증가 폭(전년 동월 대비)은 평균 28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2018년 취업자 증가 폭(9만7000명)의 3배
올해 경력단절 여성이 지난해보다 14만8000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비혼·만혼 추세로 주된 경력단절 사유인 결혼과 임신·출산이 급감한 탓이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경력단절 여성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4월)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 여성은 169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4만8000명(8.0%) 줄었다. 비혼·만혼 확산
앞으로 15~64세 생산가능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취업자 증가폭이 제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고용노동부는 14일 지난해 고용동향과 관련해 저출산·고령화로 노동시장에 유입되는 15세 인구는 지속 감소하고, 노동시장에서 유출되는 65세 인구는 증가하면서 15~64세 생산가능인구가 감소 중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15세 인구(47만4000
고용률이 유지된다면 내년부터 15~64세 취업자 수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개발원이 1일 발간한 'KOSTAT 통계플러스' 2018년 가을호에는 이 같은 내용의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가 게재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15~65세 인구는 이미 감소가 시작됐다. 2020년이면 24만 명 줄어들 전망이다. 지난해 고용
전공과 무관한 첫 직장을 얻거나 하향 취업하는 청년층이 늘어나는 현상은 청년 구직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005년 이후 전체 취업자 수는 글로벌 경제위기를 맞은 2009년을 제외하고는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지만 청년층 일자리는 매년 감소했다.
이와 함께 청년층 고용률도 지난해 40.4%를 기록, 30%대 추락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한국
지난해 여성 취업자가 1000만명을 돌파했다. 특히 50대 여성 취업자는 200만명을 돌파, 처음으로 20대보다 많아졌다.
25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 취업자는 1009만1000명으로 전년보다 17만7000명(1.8%) 늘었다.
여성취업자는 1978년(510만명) 500만명을 넘은 지 8년만인 1986년(617만명) 600만명을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기존 전망치보다 최대 1500달러 가량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난해 인구가 종전 추계치보다 79만명 가량 늘어났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인구 증가 탓에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2만2500달러에서 2만3000달러 사이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고 13일 밝혔다.
정부의 기존 1인당 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