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가 2051년까지 사용후핵연료처분시설을 건설해 운영할 것을 정부에 권고했다. 또 2020년까지 지하연구소(URL) 부지를 선정해 2030년부터는 실증 연구를 시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위원회는 29일 이같은 내용의 ‘사용후핵연료 관리에 대한 최종 권고안’을 정부에 정식으로 제출했다.
2013년 10월 출범한 공론화위는 이로써 20
현재 원자력발전소 임시저장시설에 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를 저장용량이 초과되거나 운영허가 기간이 끝나기 전에 안정적인 저장시설로 옮기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권고안이 제시됐다. 2051년부터 정부가 처분시설을 운영하고 2020년까지 처분시설 부지나 부지조건과 유사한 지역에 지하연구소(URL) 부지를 선정해야 한다는 것이 골자다.
또 처분시설이 운영되기 전이라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에 대한 논의가 진행된 지 1년이 넘은 지금 여전히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는 가운데,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공론화위)가 활동을 6개월 연장했다. 이에 성과 없이 활동만 연장하는 것 아이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22일 공론화위와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공론화는 아직 국민과 지자체 등의 공론화를 이뤄내지 못해 윤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가 영구처분시설에 대해 2055년 전후를 목표로 건설해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위원회는 지난 1년간의 학습과 소통을 통해 정리한 ‘사용후핵연료 관리를 위한 의제’를 18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한 관리의제는 그간 공론화위원회가 다양한 방식의 토론회, 라운드테이블, 간담회, 타운홀미팅, 설문조사 등을 통해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는 11일 전문가검토그룹으로부터 ‘사용후핵연료 관리방안에 관한 이슈 및 검토의견서’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검토의견서에는 지질, 재료, 원자력, 경제사회, 법 등 관련 분야 15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검토그룹이 2월부터 7월까지 여러 토론을 거쳐 다양한 의견을 담아냈다.
전문가검토그룹의 그룹장인 서울대 재료공학부 박종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