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6일(현지시간) 보툴리눔 균주 분쟁에서 메디톡스의 손을 들어줬다는 소식에 메디톡스 주가가 상한가로 직행했다.
7일 메디톡스 주가는 전일 대비 가격제한폭(30.0%)까지 오른 21만5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반면 대웅제약은 17.23% 떨어진 11만500원으로 마감했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예비판결에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대웅제약에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의 균주와 관련 정보를 제출할 것을 명령했다. 나보타 균주 출처를 둘러싼 메디톡스와 대웅제약의 공방전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지 주목된다.
메디톡스는 ITC 행정법원이 8일(현지시간) 대웅제약 측에 나보타의 균주 및 관련 서류와 정보를 메디톡스가 지정한 전문가들에게 15일까지 제출할 것을
메디톡스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행정법원이 8일(현지시간) 대웅제약 측에 ‘나보타’의 균주 및 관련 서류와 정보를 메디톡스가 지정한 전문가들에게 15일까지 제출할 것을 명령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명령은 ITC의 증거개시(Discovery) 절차에 따라 진행된 것으로, 대웅제약 측에는 강제 제출 의무가 부여된다.
메디톡스의 ITC 제소를
메디톡스는 앨러간과 함께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제소한 대웅제약과 에볼루스의 불공정 행위에 대해 ITC가 1일(현지시간) 공식 조사에 착수했다고 4일 밝혔다.
메디톡스 관계자는 “이번 ITC의 조사를 통해 대웅제약 ‘나보타(미국 제품명 주보)’가 메디톡스의 지적재산권을 탈취해 개발되었음이 명백하게 밝혀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바이오제약 분야의
메디톡스와 대웅제약이 '보툴리눔 톡신'을 두고 또다시 맞붙었다. 메디톡스와 앨러간이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대웅제약과 에볼러스를 제소한 것. 이달 대웅제약 보툴리눔 톡신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와 시판을 앞두고 양측의 신경전이 거세지고 있다.
1일 메디톡스·대웅제약 등에 따르면 메디톡스와 미국 파트너사 앨러간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미국
삼성전자가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의 한국산 세탁기 판정에 대해 실망스럽다며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삼성전자는 6일 자체 뉴스룸에 낸 영문 입장 발표문을 통해 “ITC의 (자국 산업 피해를 인정한) 결정에 대해 실망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삼성전자 세탁기에 대한 수입 금지는 선택권 제한, 가격 상승, 혁신 제품 공급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수출한 세탁기로 자국산업이 심각한 피해를 보고 있다고 5일(현지시간) 판정했다. 미국이 산업피해 판정을 내린 것은 지난달 22일 한국산 태양광 패널에 이어 두 번째다.
미국 ITC는 이날 가전업체 ‘월풀’이 삼성전자와 LG전자를 겨냥해 제기한 세이프가드 청원을 심사하고 위원 4명의 만장일치로 “수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 카드가 엄포가 아닌 실제였음이 알려지면서 향후 제대로 된 협상을 할 수 있겠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대로라면 우리 측이 끌려 다닐 수밖에 없는 협상이 될 것이라는 우려다.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미 정치권 및 업계의 강한 반발에도 한미 FTA 폐기 위협이 실제적이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가 발효된 지 5년 째를 맞는 가운데 양국이 무역구제, 의약품ㆍ의료기기 분야 이행 상황을 점검한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날과 21일 이틀간 서울에서 한미 FTA 분야별 이행위원회(20일 무역구제ㆍ21일은 의약품ㆍ의료기기 분야)가 열린다. 무역구제위원회는 이번에 2012년 6월, 2013년 11월에 이어 3번째, 의약
정부가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 ITC)가 내놓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관련 보고서에 대해 객관적이고 긍정적인 평가가 이뤄졌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최근 미국에서 대통령선거를 계기로 한미 FTA를 비롯해 미국이 체결한 무역협정 때문에 미국이 손해를 보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가운데 나와 관심을 모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보도참고자
미국국제무역위원회(ITC)는 LG전자가 이스트만 코닥 등을 상대로 제기한 특허 침해와 수입금지 요청에 대해 조사를 벌인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조사 대상은 디지털 카메라와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 기능에 대한 특허 침해에 대한 사항이다.
LG전자는 이에 앞서 지난달 같은 내용을 담은 민사소송을 미국 샌디에고 연방법원에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