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개혁에 따른 진통이 더욱 커져 내년에 경기둔화가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2일(현지시간) 미국 CNBC 보도에 따르면 중국 톈진에서 열리는 하계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중국이 경제성장 모델 전환과정에서 새 성장동력을 쉽사리 찾지 못하고 있다며 이 같이 경고했다.
리다오쿠이 칭화대 교수는 “2015년에 부동산 경기가 계속해서 둔화해 새 성장엔진을 찾으려는 중국 경제에 어려움을 안길 것”이라며 “새 성장동력은 느리게 나타날 것이며 정부는 내년 경제성장률 목표를 올해의 7.5%에서 7.0%로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무리하게 높은 성장률을 추구하려다 부작용이 생길 수 있음을 우려한 것이다.
리 교수는 “중국 정부는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올해처럼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통해 부동산 경기둔화 리스크를 헤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부동산은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시멘트와 철강, 화학, 가구 등 다른 40여개 산업과 연관돼 있다고 CNBC는 부연 설명했다.
대리우스 코왈치크 크레디트아그리콜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내년 중국 성장률이 약 7%에 이를 것”이라며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덜 쓰고 성장률 목표를 낮출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정부는 투자와 수출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줄이고 더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소비를 확대하려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가고자 하는 방향은 맞지만 중국의 높은 부채 수준을 감안해 그 전환이 조심스럽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옥스퍼드이코노믹스는 중국의 총부채가 지난 2008년 GDP의 176%에서 현재 244%로 급증했다고 추산했다.
카우식 바수 세계은행(WB) 부총재 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0%대에서 7%로 성장속도가 변하는 과정이 급격한 변동을 거치기보다는 매끄럽게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WB는 중국의 내년 성장률이 7.4%로, 올해 전망치 7.6%에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지난 10일 하계 다보스포럼 기조연설에서 “중국은 경착륙으로 가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하강압력에 직면해 있지만 여전히 쓸 수 있는 정책 수단이 많다”며 경기둔화 우려를 완화하고자 했다.
올 들어 중국 정부는 철도와 서민용 주택 건설을 가속화하고 농업 관련 은행 지급준비율(지준율)을 인하하는 등 일부 경기부양책을 시행했다.
그러나 최근 경제지표가 부진해 경기둔화 우려는 쉽사리 가시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차기 성장동력인 내수 발전이 미지근하다는 평가다. 중국의 지난달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2.4% 감소했고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2.0%로 4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해 내수가 살아나지 않고 있음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