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아베 신조 총리의 경제정책 ‘아베노믹스’가 자국 전자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IHS는 최근 ‘제3의 화살’로 일컫는 아베노믹스가 일본 전자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IHS는 아베노믹스의 핵심을 정리한 ‘전략시장 창조 플랜’에 나온 ‘건강 장수·에너지·차세대 인프라·지역자원’ 등 4개 부문에서 전자산업과 관련된 부분을 집중 조명했다.
IHS는 가장 먼저 의료·노인요양 정보를 전자화해 의료의 질을 향상시켜 질병 인구를 줄여나간다는 점에 주목했다. 아베노믹스에 따르면 일본 노인요양 로봇 시장을 오는 2030년에는 2600억엔 시장으로 키운다는 방침이다. 선진국에서는 건강보험제도가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는 가운데 일본 정부는 예방의료에 주력해 보험금 지출을 줄여 위기를 극복한다는 시나리오다.
에너지 관련 부분은 전자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분야인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원전을 재가동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재생가능에너지 산업 전략은 해외와 큰 차이가 있다. 해외에서는 셰일가스 혁명으로 재생가능에너지 산업이 주춤하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계속해서 주목되는 분야다. 발전 비용 kWh당 14엔의 목표를 정한 만큼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개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축전지 분야에서는 재생가능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투자를 권장하고 있다. 해당 기술을 지지하는 파워 반도체에 대한 개발투자로 2020년까지 신재료를 사용한 파워 반도체의 사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차세대 자동차에서는 연료전지차 개발과 수소 스테이션 정비를 목표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가장 흥미로운 것은 연료전지 및 절전형 가전 같은 에너지 절약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일본 정부는 2020년까지 주택 및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기준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한다는 방침이다. 결국 신축 주택에는 LED 조명과 에너지 팜, 태양광 발전 같은 에너지 절약 제품 도입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한다는 것이다. 이는 규제를 통해 시장을 창출하겠다는 취지로, 가장 실효성 있는 시장창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 한 가지 주목되는 것이 인프라 관련 투자다. 인프라 점검 및 진단 시스템은 터널, 다리, 고속도로 등의 인프라 점검에 센서를 단다는 구상이다. 이것은 일본 국내뿐만 아니라 중국에도 도입, 중국에서는 모든 다리에 점검 센서 부착이 의무화돼 있다. 여기다 자동차의 자동주행과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에 관한 기술개발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같은 것들은 일본의 전자기술 개발에서 중요한 과제이자 세계를 주도할 수 있는 분야라 할 수 있다. 잃어버린 20년을 되찾기 위해서는 이들 과제를 반드시 완수해야 한다.
※산교타임즈 기사는 이투데이와의 제휴 협약에 의해 게재한 것으로 무단 복제·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