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AI’, 거스를 수 없는 흐름…“확실한 규제와 검증 필수”

입력 2024-11-04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4-11-03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지난달 3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AI콘텐츠 페스티벌 2024에서 관람객들이 맥박 데이터를 활용한 오디오 비주얼 전시를 체험하고 있다. AI콘텐츠 페스티벌 2024는 콘텐츠 종류에 따라 6개로 나뉜 테마 구역에서 인공지능(AI)으로 구현된 독창적인 콘텐츠로 관람객들에게 즐거움과 신선한 경험을 제공한다. 조현호 기자 hyunho@
▲지난달 3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AI콘텐츠 페스티벌 2024에서 관람객들이 맥박 데이터를 활용한 오디오 비주얼 전시를 체험하고 있다. AI콘텐츠 페스티벌 2024는 콘텐츠 종류에 따라 6개로 나뉜 테마 구역에서 인공지능(AI)으로 구현된 독창적인 콘텐츠로 관람객들에게 즐거움과 신선한 경험을 제공한다. 조현호 기자 hyunho@

생성형 인공지능(AI)의 헬스케어 분야 활용 사례가 늘고 있다. 헬스케어 분야에서 생성형 AI 적용은 대세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다만 업계는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규제 개선 등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도 많다고 지적한다.

3일 글로벌마켓인사이트에 따르면 헬스케어 분야의 생성형 AI 시장 규모가 2023년 18억 달러(약 2조5000억 원)에서 2032년 말까지 연평균 32.6% 성장해 221억 달러(약 3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생성형 AI는 오디오,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한 새로운 콘텐츠와 아이디어를 만들 수 있는 AI의 형태다. 최근에는 챗GPT(ChatGPT)의 등장으로 헬스케어 분야에선 △합성 데이터 생성 및 데이터 증강 △신약개발 △의료진단 △임상문서 및 의료관리 △맞춤형 의약품 △의학교육 및 훈련 △환자교육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생성형 AI가 제약 및 의료제품 산업에서 연간 600억~1100억 달러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분야별로는 상업화의 경제적 가치가 180억~300억 달러로 가장 높았고, 리서치와 초기 단계 신약 발견이 150억~280억 달러로 뒤를 이었다.

국내외 대형 테크기업은 이미 생성형 AI를 적용하기 위해 헬스케어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건강 소프트웨어 기업 에픽과 환자의 질문에 대한 응답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챗GPT 개발에 나섰고, 엔비디아는 다수 AI 신약개발 기업에 투자하며 후보물질 발굴을 위한 AI 모델 개발에 착수했다. 애플은 AI 건강 코치 기능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투데이)
(이미지투데이)

국내 기업으로 네이버는 AI가 온라인으로 환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진료 사항을 의료용어로 자동 변환‧기록하는 서비스를 개발했다. LG전자는 슬립테크 기업 에이슬립과 AI 기반 차세대 스마트 가전을 개발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개인 맞춤형 수면 코칭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최근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불규칙 심장 리듬 알림 기능도 허가를 받았다.

헬스케어에 AI를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대기업과 빅테크기업의 헬스케어 진출 움직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해결할 문제도 산적해 있다. 특히 헬스케어는 복잡한 규제 환경, 지적재산권 침해,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AI가 정확한 답을 찾지 못하면 학습내용 중 비슷한 부분만 묶어 잘못된 정보를 줄 수 있다. 이 경우 내용을 환자에 전달하기 전 사람이 검토하는 것으로 보완이 가능하다. 개인정보보호를 위해서는 국내 서버에 보관해야 하며 지적재산(IP)에 대한 교육과 IP 보호 기능 작성 등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업계는 무엇보다 AI를 규제할 제도 마련이 급선무라고 입을 모은다. 이미 세계 주요국은 AI 경쟁력 강화 및 위험성 대응을 위해 각국에 맞는 규범을 정립하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헬스케어에) AI가 접목되며 활성화되는 추세에 AI 규제에 대한 확실한 검증이 필요하다. 부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개인 건강을 위협하고 의료현장의 혼란을 유발해 국가가 엄격한 규제와 검증을 해야한다”며 “미국·유럽·일본 등은 AI 법제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나라도 규제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떤 주담대 상품 금리가 가장 낮을까? ‘금융상품 한눈에’로 손쉽게 확인하자 [경제한줌]
  • 2025 수능 시험장 입실 전 체크리스트 [그래픽 스토리]
  • "최강야구 그 노래가 애니 OST?"…'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를 아시나요? [이슈크래커]
  • 삼성전자, 4년 5개월 만 주가 최저치...증권가선 “추가 하락 가능성 제한적”
  • 고려아연, 유상증자 자진 철회…"신뢰 회복 위한 최선의 방안"
  • 美 정부효율부 로고 한가운데 등장한 도지코인…'머스크 테마' 광풍 분다
  • 법원, 이재명 ‘공직선거법 1심’ 선고 생중계 불허…“관련 법익 종합적 고려”
  • ‘음주 뺑소니’ 김호중 1심 징역 2년 6개월…“죄질 불량·무책임”
  • 오늘의 상승종목

  • 11.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774,000
    • -1.49%
    • 이더리움
    • 4,512,000
    • -5.92%
    • 비트코인 캐시
    • 591,500
    • -9.49%
    • 리플
    • 950
    • +7.71%
    • 솔라나
    • 293,700
    • -7.09%
    • 에이다
    • 764
    • -16.96%
    • 이오스
    • 777
    • -6.27%
    • 트론
    • 254
    • +5.39%
    • 스텔라루멘
    • 179
    • +2.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78,250
    • -11.28%
    • 체인링크
    • 19,100
    • -10.45%
    • 샌드박스
    • 400
    • -11.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