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EU의 친중국 정책으로 배터리 시장 점유율 확대
한국과 점유율 격차 좁혀…“1~2년 내 충분한 지원 필요”
최근 유럽연합(EU)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이 늘어나는 가운데 우리 배터리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글로벌 배터리의 최대 격전지, EU 배터리 시장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14일 발표했다.
최근 EU는 역내 배터리 제조역량을 강화하고 재활용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글로벌 배터리 기업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EU는 2030년 전 세계 리튬이온 배터리 수요의 약 4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지역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EU의 역내 배터리 소재, 장비의 공급 역량이 부족하고 주요 회원국들이 배터리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경쟁적 지원에 나서고 있어 투자에 유리한 여건 조성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으로 인해 미국 시장 진입이 어려워진 중국 기업의 EU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어 우리 기업과 점유율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미국이 중국을 배제한 배터리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는 반면 EU는 중국 기업의 투자 유치에도 개방적으로 나서고 있다.
중국의 EU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2020년 14.9%에서 2022년 34.0%로 상승했다. 중국의 점유율이 높아지며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같은 기간 68.2%에서 63.5%로 소폭 하락했다.
보고서는 EU 완성차 회사(OEM)와 배터리 기업의 제휴가 본격화하는 향후 1~2년이 글로벌 배터리 산업의 판도를 좌우할 결정적 시기라고 분석했다.
배터리는 대규모 설비 투자가 선제적으로 필요한 수주 산업으로, 완성차 업체별 상이한 요구사항에 맞춰 생산 설비를 빠르게 확충할 수 있는 자금력과 기술력이 경쟁력의 핵심이다. 공장 건설과 수율 확보를 위한 시운전 기간 등을 고려할 때 향후 1~2년 수주 경쟁의 결과가 5~6년 이후의 시장 점유율을 좌우하게 되므로 단기적 자금 조달 능력이 수주 경쟁의 성패를 좌우할 전망이다.
그동안 국내 배터리 소재 및 장비 업체들이 EU 배터리 시장 성장에 따라 수출을 늘려온 만큼 중국의 EU 배터리 시장 점유율 확대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다.
보고서는 우리 기업이 EU 시장에서 중국과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자금 지원 확대 △핵심광물 공급망 확충 △투자 세액 공제의 실효성 강화 등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희영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배터리는 국가첨단전략산업이자 수출, 생산, 고용 등의 파급효과가 큰 우리나라의 주력산업으로, 향후 1~2년 내 EU 시장에 충분한 설비투자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중국과의 점유율 경쟁에서 밀리면서 회복하기 어려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라며 “우리 기업이 EU 시장에서 중국 기업과 대등한 여건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배터리 산업에 대한 집중적 자금 지원과 정책적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