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택자 시야 넓혀 1기 신도시 재건축 호재 노려볼 만
김제경<사진>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은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에 대해 질문하자 이같이 답했다. 윤석열 정부가 ‘부동산 규제 완화’ 공약을 전면에 내걸고 출항했지만, 부동산 시장은 기준금리 인상과 집값 고점 피로감 등이 겹치면서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서울 서초구나 용산구 등 초고가 단지 밀집지역을 제외하곤 강남에서도 집값 내림세가 장기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투데이는 3일 김 소장을 만나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을 들어봤다.
김 소장은 올해 하반기 시장을 ‘초양극화’로 정의했다. 그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서초와 강남, 용산만 오르는 상황이고, 나머지는 조용하다 못해 하락하는 곳도 많다”며 “서울이나 경기에선 재건축 이슈가 있는 곳은 오르고 그 외 지역은 떨어질 것이다. 빌라의 경우 모아주택 지정지역은 수천만 원에서 억 원 단위로 오르는 곳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렇듯 전체적인 집값은 재개발이나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곳이 많이 오르고, 아파트는 서초를 중심으로 한 고가 단지가 더 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의 6·21 부동산대책 발표에 따른 세제 변화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김 소장은 “종합부동산세 변경안을 보면 1주택자에 대한 규제 완화가 주된 내용”이라며 “이전 정권은 다주택자 규제가 지속하면서 ‘똘똘한 한 채’ 선호가 깊었다면, 지금은 1주택자에 혜택을 주니 핵심지 한 채를 선호하게 된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지방에 3가구를 보유하면 세금 부담이 심하지만, 서울 강남지역 내 한 가구는 세금 부담이 덜해 이러나저러나 ‘똘똘한 한 채’ 선호는 계속될 것”이라고 했다.
최근 계속되는 금리 인상도 집값 양극화 현상을 부추길 것으로 봤다. 김 소장은 “이미 서초나 강남 일대 아파트값은 대출 금지선인 15억 원을 훌쩍 넘겼다”며 “현금으로 고가 아파트를 사들이는 사람들은 대출 금리가 올라도 흔들릴 것이 없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김 소장은 “인플레이션이 심화하면서 ‘현금을 묵히면 안 된다’는 인식이 자산가 사이에서 확산하고 있다”며 “결국 투자 대상 중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인 부동산으로 자금이 몰릴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내 집 마련을 준비 중인 무주택자에겐 시야를 넓힐 것을 추천했다. 김 소장은 “결국 집을 살 사람은 사야 한다”며 “꾸준히 집값이 오르는 지역을 중심으로 왜 오르는지 분석하고, 서울 진입이 어려운 경우에는 일산이나 중동 신도시 등 호재가 있는 1기 신도시를 노려볼 만 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