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출범하는 새 정부는 국내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해 대통령 주도의 전폭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업계는 윤석열정부가 바이오헬스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을 국정과제로 삼은 만큼 이에 걸맞은 혁신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종윤 한국바이오협회 이사장(한미약품 사장)은 이투데이와 서면 인터뷰에서 "새 정부가 공공형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참여 기업과 연구소, 대학 등이 비영리 목적으로 연구와 기술개발에 몰두할 수 있도록 세금 및 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내 바이오 산업이 글로벌 수준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R&D)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전문인력 양성의 토양이 마련돼야 한다는 점이 안팎에서 지적돼 왔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종사자 및 의과학자를 지원하고, 다학제 연구를 통해 산업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과정이 필요하다.
임 이사장은 "우리나라의 선진국 대비 인력은 40분의 1, 물적 자원은 100분의 1 수준을 투입하고 있다"면서 "이 정도의 재원으로는 잠재력 있는 의과학자 양성이 매우 힘들고, 인적 자원의 고갈로 연결돼 한국 바이오 산업이 위기상황에 처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공공형 바이오 클러스터가 구축되면 기술 경쟁력이 강화되는 한편 미래 먹거리 발굴에 속도를 내 국내 바이오 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전염병에 대비해 국민 보건 안전을 마련하고 백신 주권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백신 개발 여력이 부족한 제3세계 국가에 대한 공급도 원활해져 전 세계에 한국 바이오산업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임 이사장은 "미국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의 중심인 켄달스퀘어나 코로나19 백신 개발부터 생산, 운송까지 미국 정부 주도 하에 진행된 초고속 작전(Operation Warp Speed, OWS) 등의 사례에서 보듯 개별 기업이나 민간 주도가 아닌, 정부 주도의 지원방안이 필요하다"면서 “바이오 클러스터의 공공재로서 역할에 집중할 수 있도록 공익성에 초점을 맞춘 정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제도적 특성을 고려하면 최고 결정권자인 대통령으로부터 톱다운 방식의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석열 정부는 산업과 과학기술, 의료가 융합되는 바이오헬스 분야를 '제2의 반도체'로 육성해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이룬다는 목표를 내걸고 있다. 업계 숙원인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를 만들어 기초 연구진과 병원, 기업과 관련 부처가 함께 협업하는 바이오헬스 거버넌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보건 안보' 관점에서 백신·치료제 개발 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임 이사장은 미래 감염병 팬데믹(대유행)에 대비하는 케이허브(KHUB)를 구상, 현재 마스터플랜을 실행하고 있다. 포항바이오클러스터에 KHUB사이언스파크(KSP)를 설립했으며, 진단과 백신 개발 및 생산 등 팬데믹 대비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현재 백신 개발의 최전선으로 꼽히는 영국의 R&D 인력을 활용해 신물질을 개발하고 지적재산권을 확보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임 이사장은 KHUB가 다국적 민간재단인 감염병혁신연합(CEPI), 영국 민간재단인 웰컴(WELLCOME), 미국의 국립보건원(NIH)과 같은 글로벌 스탠더드 플랫폼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새 정부의 적절한 지원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그는 "법적으로도, 세제상으로도 장애물이 너무 많아 재점검이 절실하며, 지원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돼야 한다"면서 "바이오산업의 부가가치뿐 아니라 고용의 양적·질적 수준을 고려하면 저성장에 신음하는 대한민국 경제의 마중물이 되는 지원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