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수출에 대한 국내 철강업계의 경색 국면이 지속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 내 인프라 건설에 미국산 철강과 부품만을 사용하도록 권고해 철강업계의 고민이 더 깊어졌다.
19일 철강 업계에 따르면, 이번 조치를 두고 일부 품목에서 미국 통상 시장 내 국내 철강재에 대한 경색 국면이 이어지는 조짐으로 보이고 있다.
컬러 강판 등 일부 철강 품목에서 쿼터 물량만을 수출하는 국내 업계는 다소 간의 부정적인 영향을 내다봤다.
업계 관계자는 “EU 등 관세 완화가 이뤄진 데 반해, 국내의 경우 미국향 제품에 대한 가격경쟁력이 지속적으로 낮아질 소지가 있다”며 “미국 통상문제만 해결되면 수익성이 좋아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AP통신은 18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이 1조 달러(약 1235조 원) 규모의 인프라 지원 예산 지출과 관련해 미국산 자재에 한 해 지출을 허용한다는 권고를 발표한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최근까지도 미국 조달 시장에서 미국산 철강재만 95% 이상 사용하도록 돼 있는데, 이를 약간 확대하는 수준이다. 모든 철강재가 아니라 공공발주 측면이며, 조선 등 직접 구매하는 실수요자에겐 영향이 적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조치에 대해 대미 수출 시장에서 국내 철강업계가 겪고 있는 무역확장법 232조 규제조치 등 통상이익을 반감하는 현 국면을 타개하지 못하는 수순으로 업계는 해석한다. 유럽연합(EU)를 비롯해 일본, 영국 등이 합의를 끌어낸 데 반해, 국내의 경우 이렇다 할 반등 조치를 얻어내지 못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크리스토퍼 델 코소 주한미국 대사대리와 면담을 하고 철강 232조치의 개선이 필요함을 거듭 강조하기도 했다. 한국 정부는 쿼터 적용과 관세 개선을 위한 협상 재개 필요성을 제기하는 모양새지만, 미국 측은 당분간 한국과 철강관세 협상을 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