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수당 청구 건수, 오미크론 확산에도 4주만에 감소세로 전환
“경제 지표 호조, 연준 긴축 행보에 근거 제공”
‘시장 친화적’ 연준 시대 끝났다는 분석도
지난해 미국 경제가 37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기에 노동시장 역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우려에도 양호한 흐름을 보이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 긴축 행보에 자신감을 불어넣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2021년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5.7%(연율 기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 집권 시기인 1984년 이후 최대폭 성장률이다. 지난해 4분기 GDP는 전년 동기 대비 6.9% 성장해 시장 전망치(5.5%)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미국 경제는 6개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세를 유지하게 됐다.
폭풍 성장의 원동력은 개인소비에 있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직후부터 드라이브를 걸었던 천문학적 재정 부양과 연준의 통화 완화정책이 막대한 유동성을 만들어내면서 개인 소비를 촉진했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개인 소비는 전 분기 대비 3.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개인소비는 직전분기인 3분기에도 2.0% 증가했었다.
고용시장도 양호한 흐름을 되찾았다. 미국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주(16~22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6만 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주보다 3만 건 감소한 것으로, 3주 연속 증가세를 접고 감소세로 접어들었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지난해 꾸준히 감소하면서 지난달에는 52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하지만 오미크론 확산에 신규 실업 수당 청구 건수가 다시 증가했지만, 지난주 다시 감소세로 전환하며 고용시장 회복세를 입증했다.
양호한 미국 경제지표에도 시장 혼란은 이날도 이어졌다. 장 초반 상승세를 보였던 다우지수를 비롯한 뉴욕 3대 지수는 이날 모두 하락세로 마감했다.
경제지표 강세가 오히려 연준의 조기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자신감의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NYT)는 "경제 지표 호조가 연준의 긴축을 계속 추진할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면서 "이에 연준이 3월로 시사한 첫 번째 금리 인상 이후에도 시장 변동성이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
이에 그간 금융시장의 '소방수' 역할을 했던 '시장 친화적' 연준의 시대는 끝났다는 분석도 나온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1990년 이후부터 저물가가 이어진 덕에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신경 쓰지 않고 '경기 안정'에 초점을 맞출 수 있었지만, 40년 만에 최고 물가상승률을 직면하게 되면서 이제 '물가 안정'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고 지적했다. 즉 연준이 시장의 혼란을 감수하고라도 물가 안정에 필요한 조처를 할 수 밖에 없게 됐다는 것이다.
특히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후에도 글로벌 공급망 혼란과 개인소비 강세가 이어져 물가가 잡히지 않는다면 연준의 긴축 속도는 더 빨라질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자칫 경기만 둔화하고 물가 상승세는 잡히지 않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어 연준이 충격요법 형태의 금리 인상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