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신규채용 못하는 이유 보니…노동시장 유연성 안정성 우려

입력 2021-10-31 13: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 기업들은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안정성이 모두 낮아 신규 채용을 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국내 30인 이상 기업 525개 사를 대상으로 '노동시장 유연성과 안정성에 대한 기업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는 기업에 노동시장 유연성과 안정성에 대한 체감도를 항목별로 5점 만점으로 평가하게 했다. 유연성과 안정성이 '매우 낮다'고 느끼면 1점, '보통'은 3점, '매우 높다'는 5점을 부여하는 식이다.

그 결과 조사한 모든 항목에 대한 체감도가 중간값인 3점 미만으로 나놨다. 응답 기업들이 전반적으로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안정성 수준이 낮다고 인지하고 있는 셈이다.

유연성 체감도 평가에서는 '고용ㆍ해고 등 인력 조정의 용이성'(외부수량 유연성)이 2.71점으로 가장 낮았고 이어 '임금 조정의 용이성'(임금 유연성) 2.78점, '근로시간 조정 용이성'(내부수량 유연성) 2.80점, '직무조정ㆍ배치전환 용이성'(기능적 유연성) 2.85점 등이었다.

특히 노조가 있는 기업은 없는 기업에 비해 노동시장 유연성 체감도가 낮았고 유연성이 낮은 이유로는 법과 제도를 꼽는 기업이 가장 많았다.

노동시장 유연성이 낮아 인력 수요가 발생해도 신규 채용을 주저하게 된다는 답변도 40.6%로 높았다.

노동시장 안정성 평가에서는 '실직 시 신속한 재취업 가능성'(고용 안정성)이 2.71점으로 체감도가 가장 낮았다. '실직 시 안정적 소득확보 가능성'(소득 안정성) 2.73점, '일과 삶의 조화 가능성'(결합 안정성) 2.84점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소득 안정성이, 규모가 클수록 고용 안정성이 낮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시장 안정성을 낮게 평가한 이유로는 제도 미비와 경직적 조직 문화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형준 경총 고용ㆍ사회정책본부장은 "노동시장의 유연성 확대는 청년 실업 문제 해결에도 중요한 사안"이라며 "정규직에 대한 과도한 보호를 완화하고 실직하더라도 신속한 재취업이 가능하도록 고용서비스 체계를 다시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7,923,000
    • +7.11%
    • 이더리움
    • 4,521,000
    • +2.12%
    • 비트코인 캐시
    • 629,500
    • +3.96%
    • 리플
    • 826
    • -0.72%
    • 솔라나
    • 304,800
    • +4.6%
    • 에이다
    • 847
    • +1.56%
    • 이오스
    • 787
    • -2.72%
    • 트론
    • 230
    • +0%
    • 스텔라루멘
    • 154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950
    • +1.68%
    • 체인링크
    • 20,150
    • -0.79%
    • 샌드박스
    • 409
    • +0.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