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초등학교 1~3학년 학생들의 온라인 개학이 시작되면서 초ㆍ중ㆍ고 모든 학년의 개학이 완료된다.
전문가들은 교실 내 감염 우려가 크고 수업 결손을 방치할 수 없다는 측면에서 온라인 개학은 불가피했다는 점에 동의하지만 교육 당국의 사상 첫 원격수업에 대한 실행과정을 두고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19일 교육계에 따르면 학교 교실로 학생을 모으는 대면 수업은 당분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등교개학 여부나 시점은 사실상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등 정부 부처간 수차례 논의하에 정하게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과정에서 네 차례 개학 연기를 경험한 교사와 학부모들은 ‘기준 부재’를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 지난 개학 연기 결정 때마다 교육부는 “정부부처와 의료계의 의견을 반영해 개학을 연기했다”고만 사유를 밝혔다.
나명주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장은 “‘하루 신규 확진자가 몇 명 이하로 줄어들면 개학을 한다’거나 ‘감염병 위기경보가 심각 단계보다 낮아지면 개학을 한다’는 식의 기준이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교육부가 아직도 연기 시한이 다 되면 그때그때 ‘땜질식’ 결정을 하니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한 교육 계획안을 여러 경우의 수에 맞춰 제시해 달라는 요구도 높다. 시기별 개학 일정에 따른 지침이 있어야 현장에서도 선제적으로 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동하 실천교육교사모임 정책위원은 “사실상 ‘플랜 B’가 없는 것이 문제”라면서 “예를 들어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을 골고루 줄인다’거나 ‘5월에 개학할 경우 1학기 중간고사는 생략한다’는 식의 지침이 나와야 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이번에 온라인 개학이 시도되면서 교사와 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수준이 급격히 상승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정제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는 “우리 정보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교육 현장의 활용은 미흡했다”면서 “다만 질병 재난 상황이 아닌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다양한 학습 자료와 시공간을 뛰어넘는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계기로 만들면 전화위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남기 한국교육행정학회장(광주교대 교수)은 “이번 사태를 슬기롭게 극복한다면 정보화 수준을 높이고 격차를 줄이는 노력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며 “위기를 최대한 기회로 활용하는 역발상의 지혜를 발휘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한편 20일부터 초등학교 1~3학년이 3차로 온라인 개학한다. 9일 중ㆍ고 3학년(85만8000여 명)이 1차로 온라인 개학했고, 16일 초등 4~6학년, 중ㆍ고 1~2학년(312만7000여 명)이 2차 개학한 데 이어 전국 초ㆍ중ㆍ고 학생 540여만 명이 모두 온라인에서 개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