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일업 활성화를 위해 국내 벤처금융시장에 벤처대출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는 연구가 나왔다.
중소기업연구원(중기연구원)의 홍종수 부연구위원과 나수미 연구위원은 22일 ‘스케일업 촉진을 위한 벤처대출 (Venture Debt) 도입 방안 – 정책자금을 활용한 은행권과 벤처캐피털의 협업을 중심으로’ 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벤처기업의 고성장, 이른바 스케일업(scale-up) 활성화가 세계 주요국의 중요한 정책방향이 됐으나, 우리나라는 미국 등 주요국에 비해 스케일업 단계의 중·후기 투자는 부족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벤처 신규투지금액 등 전반적인 양적지표는 증가하는 추세인 반면 중·후기 투자는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연구원은 국내 벤처금융시장에 벤처대출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벤처대출은 벤처캐피털로부터 지분투자를 받은 벤처기업에게 제공되는 모든 형태의 대출을 의미한다.
스케일업이 활발한 미국에서는 다수의 벤처기업이 성장단계별 지분투자와 더불어 부채성 자금인 벤처대출을 받고 있다. 이는 미국에서 스케일업이 활발한 주요 요인 중 하나로 파악된다. 다우존스 벤처소스 따르면 미국의 경우 28%의 벤처기업이 벤처대출을 받았고, 2015년 IPO에 성공한 미국 벤처기업 중 47%가 대표적인 벤처대출 제공 금융기관인 실리콘밸리은행 (Silicon Valley Bank)의 벤처대출을 이용했다.
연구에 따르면 벤처대출이 가져다주는 효과는 벤처기업은 후속 지분투자를 받기 이전까지의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대출 심사에 따른 경영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벤처대출의 국내 도입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창업 5년 미만 기업 중 41.6%, 3년 이내에 후속 지분 투자 계획이 있는 기업 중 54.9%가 후속 지분 투자를 받기 이전까지의 기간 연장을 위해 벤처대출 사용 의향이 있었다. 또, 60%의 기업이 벤처대출로 기업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예상했다.
홍종수 중기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국내에서는 주요 대출제공 금융기관인 은행과 벤처캐피털의 협업 경험이 부족해 벤처대출의 국내도입을 위해서는 두 기관의 협업 확대 및 경험의 축적이 중요하다”고 했다.
나수미 연구위원은 “벤처대출을 통해 은행은 혁신성장을 위한 생산적 금융공급자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며 “정책적인 지원 아래 은행의 선별 역량이 강화돼야 한다”고 밝혔다.
홍 부연구위원은 벤처대출 도입 초기단계에서 은행권과 벤처캐피털의 협업관계 구축을 위해 정책자금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모태펀드가 출자하는 벤처대출전용 펀드를 만들고 정책보증기관(기보와 신보)의 벤처캐피탈의 후속투자와 연계해 보증을 제공하는 협업형 보증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