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미국의 지난해 재정수지 적자 규모는 1조2000억 달러(약 1390조 원)에 달해 선진국 전체의 80%를 차지하게 됐다.
지난해 재정적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인 2016년 대비 50% 증가했다. 의료비 등 세출이 증가한 것 이외에도 경기부양을 위한 대규모 감세에 재정적자가 눈덩이처럼 커졌다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1조9000억 달러) 다음으로 많은 수준이다.
미국의 정부 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약 100%로,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가장 높다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미국의 연간 국채 발행액은 1조 달러가 넘는다. 지난해 9월 말 미국 국채 발행 잔고는 19조 달러 미만으로 GDP와 비슷한 수준이 됐는데 올해는 20조 달러를 돌파할 전망이다.
그 결과 미국이 지급해야 할 이자비용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미국 의회예산국에 따르면 올해 정부 이자비용은 4600억 달러로, 4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2025년에는 7240억 달러로, 국방비(7060억 달러)를 웃돌 전망이다.
이렇게 미국이 부채로 ‘돈잔치’를 벌이고 있지만 금리에 굶주린 세계 투자자들은 앞다퉈 미국 국채를 매입하고 있다. 새해 들어서도 주가가 상승하지만 미국 국채 수요가 강한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1.8%로, 지난해 말에 비해 10bp(bp=0.01%포인트) 하락했다.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미국 국채 금리가 떨어지고 있지만 다른 선진국에 비하면 매우 높다. 일본이나 독일, 프랑스 국채 금리는 현재 제로(0)%나 마이너스 금리에 잠겨 있다. 그만큼 투자자들이 미국 국채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외국인 보유한 미 국채 규모는 지난해 1~11월에 4692억 달러 증가했다. 이는 2018년보다 약 8배 급증한 것이다. 일본이 생명보험업체와 은행을 중심으로 미 국채 보유량을 1211억 달러 늘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았다.
2000년대 미국 국채 최대 구매국이었던 중국이 미·중 무역마찰 여파와 분산투자 등으로 보유액이 줄었지만 전 세계 다른 국가들이 왕성하게 사들이면서 중국 영향은 거의 없었다.
문제는 그만큼 재정 리스크가 커졌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미국 재정이 지속 불가능한 길을 걷고 있다”고 비판한다. 인플레이션 압박이 커지면 저금리 전제가 무너지면서 미국 달러화 가치가 떨어지고 그에 따라 국채에 매도세가 이어지는 등 연쇄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이에 전 세계 투자자들도 막대한 손실이 불가피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