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신용등급이 무더기로 하향조정되면서 등급 상하향조정배율이 3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문제는 하향추세가 앞으로도 더 지속될 것이라는 점이다. 기업의 차입·상환 부담이 증가할 수밖에 없겠다. 다만 이같은 추세가 시장불안으로까지 확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봤다.
같은기간 투자등급 기업 비중은 89.7%였다. 무디스나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 등 해외 신용평가사 기준으로는 94.9%였다.
국내외 신평사의 부정적 등급 전망도 증가했다. 국내·외 신평사는 2018년 각각 11.9%와 7.3%에서 2019년 14.0%와 17.9%로 상승했다. 특히, 전기전자, 자동차, 기계장비, 건설 등 업종을 중심으로 부정적 평가가 늘었다.
보고서는 신평사의 부정적 전망이 늘었고, 경기 움직임과 등급조정과의 관계, 최근 기업 채무상환능력 저하 및 예상부도확률 상승 등에 비춰 향후 신용등급이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실제 과거 경기 움직임과 등급 조정과의 관계를 보면, 경기둔화 또는 매출 부진 시기에 등급하락 및 부정적 전망이 증가했다. 기업 이자보상배율도 2017년 9.4배에서 2018년 8.8배로 떨어지기 시작해 올 상반기 4.4배에 그쳤다. AA이상 등급 기업의 경우도 같은기간 11.9배에서 11.1배, 5.7배를 기록했다.
작년말 대비 10월말 기준 예상부도확률은 AA등급은 0.39%에서 0.47%로, A등급은 1.33%에서 1.56%로, BBB등급은 3.83%에서 4.51%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신용스프레드 상승을 통한 차입비용 증가와 만기도래분에 대한 상환 및 차환 부담이 커질 것으로 봤다. 실제 A이하 등급으로 하향 조정된 기업의 신용스프레드는 하락일로부터 4영업일간 A등급은 36bp, BBB등급은 74bp 확대됐다. 반면 AA이상 등급을 유지한 기업은 4bp 상승에 그쳤다.
이재화 한은 안정분석팀장은 “국내외 신평사들로부터 국내 기업 신용등급이 하향조정되고 있다. 부정적 전망도 많았다. 경기나 채무상환능력, 예상부도확률로 비춰보면 향후 추가로 하향조정할 수 있어 보인다”면서도 “기업 차입비용이 증가하고 기존 빚에 대한 차환 부담이 늘겠다. 다만 다수 기업에서 단기간 신용등급이 급락하거나 시장 불안요인을 초래할 단계까지는 아닐 듯 싶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