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일본과의 센카쿠제도 분쟁 당시 일본 상품 불매와 관광 금지 조치를 취했다. 중국 정부 입장에서 껄끄러웠던 인권운동가 류샤오보가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자 이를 결정한 노르웨이를 겨냥해 ‘연어 수입금지’를 결정하기도 했다. 한국에 대한 사드 보복 역시 비슷한 방식이다.
지리적 측면이나 시장 규모를 따졌을 때 중국 시장의 중요도는 변하지 않는다. 다만 무역보복을 완화하고, 중국의 제재 효과를 반감시키는 게 관건이다. 이를 위해 시장의 다양화 전략이 필수다. 현대기아차는 중국의 무역 보복 이후 베트남과 인도 등 새로운 시장으로 초점을 옮긴 바 있다. 중국의 성장세에 안주하며 그동안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곳들이다. 정부 역시 이를 물 밑 지원 중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국빈 방문을 통해 한국 자동차 산업의 현지 진출을 강조했다.
우리 정부 차원의 강력 대응도 필요하다. 보복 조치를 즉각 중단하도록 엄중히 경고하는 한편, 중국의 불법적 보복행위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정식 제소하는 등 전면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 역시 비슷한 해법이 필요하다.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의 최근 보고서를 보면 중국과 미국의 무역분쟁 탓에 아시아 국가의 GDP 성장률은 평균 1.1%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시장의 해결책으로 정부의 관세 제재를 뛰어넘을 수 있는 제품 전략이 절실하다. 현지 중저가 자동차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한 현대기아차는 미국 판매의 약 53%를 현지 공장에서 생산한다. 나머지는 관세 폭탄에 노출된 수출 분이라는 뜻이다.
결국 값싼 준중형차와 인기 많은 SUV는 현지 생산을 통해 돌파구를 찾고, 고급차와 친환경차를 앞세운 수출 전략으로 위기를 넘겨야 한다는 지적이 우세하다. 나아가 미국 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관세의 부당성과 무역질서의 회복 등을 강조하며 시장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