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가 정상화되면 구인난에 시달리는 국내 중소기업들을 위해 중소기업중앙회가 정해진 지역에서 북한 근로자들에게 직업교육을 제공하고 마음껏 일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할 겁니다.”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은 11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열린 30회 중소기업주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북한 근로자들을 국내 제조업‧서비스업 300개 업종에 특화하도록 교육하고 국내에서 일할 수 있도록 중기중앙회가 기본적인 역할을 준비하고 있다”며 “남측은 북측 인력의 도움을 얻고 북측은 유입된 인건비로 자국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만성적인 구인난에다 최근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건비 부담이 급격히 높아진 국내 중소기업들에 북한 근로인력 매칭은 남북이 모두 ‘윈윈’하는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의미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현재 국내 중소기업이 추가로 필요한 인력은 25만 명을 웃돈다.
이재원 중기중앙회 인력지원본부장은 “국내 체류 재외 동포와 외국인 근로자들을 모두 함하면 산업 인력 수요가 110만 명에 달한다”며 “이 중 절반인 55만 개 일자리에 북한 근로자를 쓸 수 있다면 이들이 북한에 연간 100억 달러의 임금만 송금해도 경제 개발의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중기중앙회 산하 업종별 협동조합과 단체가 참여하는 남북공동인력사업을 통해 남북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실무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중기중앙회는 지난달 통일부에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10대 과제’를 전달한 바 있다. 북한 근로인력 활용 방안은 지난해 12월 중앙대학교 민족통일연구소에 의뢰해 작성된 연구용역 결과보고서 내 ‘DMZ 내 기술교육센터 설립’ 항목에서 처음 구체화됐다. 보고서는 북측 근로자의 기술‧기능 수준은 남한 근로자의 약 70% 수준이며, 적절한 직업교육 병행시 획기적인 생산성 향상이 가능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박 회장은 “취임할 때부터 앞으로 중소기업의 기회는 북한에 있을 것이라고 봤다”면서 “2015년 초부터 중기중앙회 내 통일경제정보팀을 창설하고 통일경제위원회 등을 구성해 남북관계의 여러 가능성을 연구해왔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 회장은 이날 중소기업 혁신방안 세 가지로 ‘북한’과 함께 ‘스마트공장’, ‘지방분권’을 내세웠다. 그는 “앞으로 생산성 혁신을 위해 예전에 농촌에서 새마을 운동이 번져나갔듯이 스마트공장을 확산시킬 계획”이라면서 “스마트공장이야말로 대한민국 중기가 갖고 있는 문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방분권에 대해서는 “지방마다 경제 수준이 강원도 2만 달러, 서울 3만 5000달러 등 제각기 편차가 크다”며 “발전 여지가 높은 각 지방에 지역기반형 중소기업을 육성하고, 지자체들은 지역 특성에 맞는 중소기업 정책을 계획하고 실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