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단순한 제조기지로 보기보다 맞춤형 소비시장으로 보고 진출을 확대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8일 '중국의 저소비율 탈출을 위한 전략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중국은 소비국가로 성장을 위해 2020년까지 경제정책 방향이 소비의 경제 기여도 증진, 서비스업 비중 확대, 산업 고도화 추진, 투자 효율성 제고, 신(新) 성장동력 육성에 맞춰져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제조업 위주로 압축 성장을 해온 중국은 기업보다 가계에 돌아가는 소득이 낮아 소비율이 낮은 편에 속한다.
2005∼2015년 중국의 소비율(국민 총가처분소득 대비 최종소비지출)은 평균 50.6%로 한국, 미국은 물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보다 낮다.
가계 사회보험금 납입부담도 빠르게 상승하며 소득 여력이 줄어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중국 정부는 기업 유치를 통한 기업 부문 성장과 임금 수준 향상을 통해 가계 소득 기반을 확대하는 저소비율 탈출 전략을 쓰기로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8월부터 외자 진입 규제 완화, 세제 지원 확대, 사업환경 고도화 등 외국인 투자를 장려하기 위한 조치를 추가로 실행했다.
근로자들에게 돌아가는 실질소득을 늘리고자 2016년 5월부터 연금보험, 의료보험, 보육보험, 실업보험 등의 개인 부담률을 낮추는 조치도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창출 효과가 높고 임금 수준이 높은 서비스 부문 성장을 육성하고 있다.
중국의 13차 5개년(2016∼2020년) 계획에 따르면 서비스산업 비중 제고, 전력·철도·에너지 등 공공부문 서비스 민간 개방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보고서는 "중국이 소비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정책적 변화를 시도하는 만큼 중국 진출 시 '제조기지 활용'에서 '고부가가치 생산기지 활용', '맞춤형 소비시장 진출' 등 전략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외자 이용, 투자 유치 측면에서 중국 정부 정책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면서 "중국 고소득자를 대상으로 한 프리미엄 소비재·여가 활동 서비스, 고령자 대상으로 한 의료·보건 분야 진출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