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다가오면서 현역 국회의원의 교체지수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역구에 출마하는 현역 의원이 공천 단계에서 얼마나 걸러질지, 또 본선에서 승리해 돌아오는 이들이 얼마나 될지가 관건이다.
지난 19대 총선 땐 당선자를 기준으로 전체 의석수 300석 중 절반 가까이를 정치신인이 차지했다. 구체적으로 지역구 97명, 비례대표 52명 등 149명(49.7%)의 초선 의원들이 국회에 입성했다.
탄핵 후폭풍 속에서 62.5%에 달하는 187명이 물갈이 된 17대 총선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지난 18대 때 137명보다 훨씬 많고, 역대 총선의 평균 초선 비율인 48.1%보다 높았다.
또 여야 중진 의원 다수가 고배를 마시면서 246개 지역구 현역 의원의 물갈이 비율은 62%를 기록했다.
이번 20대 총선에서 전체 물갈이 비율을 점치기는 쉽지 않지만, 적어도 공천에서는 여당보다는 야당에서 현역 의원이 많이 배제될 것이란 전망이 일반적이다.
새누리당의 경우 그동안 추진해 온 오픈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제)는 사실상 물 건너갔지만, 이에 준할 정도로 경선에 일반국민의 참여 비율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민의를 반영하는 폭이 넓어지는 건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비교적 인지도가 높은 현역 의원이 많이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새누리당의 한 사무처 실무자는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개인별 능력 차이가 일반인이 알 정도로 크게 벌어지는 것이 아니라면, 결국엔 인지도 싸움”이라며 “시뮬레이션을 해보면 국민공천을 했을 때 현역이 압도적으로 유리하다”고 했다.
특히 새누리당은 인위적인 현역 물갈이는 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김무성 대표는 최근 “현역 국회의원의 컷오프는 절대 없다”고 밝혔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당 혁신위원회를 통해 이미 현역의원에 대한 평가 기준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하위 점수를 받은 20%를 공천에서 배제할 계획이다. 일각에선 물갈이 폭이 더 확대될 것이란 관측도 있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주위에서 ‘공천 살생부’가 있다는 말이 돌고 있다”며 “애초 예상보다 현역 의원의 물갈이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