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 거의 대부분이 갖고 있는 은행통장이 개발도상국에는 매우 귀한 존재다. 세계은행(WB)에 따르면 지난 2011년 기준 전 세계 70억 인구 가운데 25억명의 성인이 은행계좌가 없다. 특히 개도국은 그 비율이 약 60%로 고소득 국가의 11%를 웃돌고 있다고 WB는 지적했다.
이런 현실을 타개하고 경제개발에 힘을 보태고자 중국과 인도 등 아시아 각국이 금융혁명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17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금융혁명의 역사는 약 200년 전 유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신문은 소개했다. 1800년대 초반 유럽에서도 귀족과 부유한 상인들 만이 은행 계좌에 접근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가난과 사회 불안정에 시민혁명을 우려한 유럽 각국 정부가 재정을 동원해 일반 서민이 은행계좌를 통해 돈을 예금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아시아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에도 많은 서민이 예금과 보험, 연금 등 금융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은 19세기 초반 유럽과 다르지 않다.
시중은행들은 높은 거래 비용을 들며 소액예금을 거절하고 오지에 사는 주민은 은행 지점이 없어서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길이 원천 차단됐다. 심지어 많은 사람이 금융상품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아시아 각국 정부는 모바일 뱅킹 등 IT기술을 활용하거나 오지에 있는 일반 소매업체가 은행 지점 역할을 하게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금융혁명을 꾀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중국은 성인의 약 3분의 2가 은행계좌를 갖고 있는 등 아시아 금융개혁의 선두를 달리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중국 정부는 1800년대 유럽 금융혁명에 큰 부분을 담당했던 우체국 예금과 같은 수단을 써서 일반 서민이 정식 금융시스템에 편입되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한 전자결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으며 격오지 구멍가게가 은행 지점 역할을 할 수 있는 에이전트 제도도 시범 실시하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지난해 8월 국영은행들에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1억2500만개의 신규 은행계좌를 개설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인도 메이저 이동통신업체들은 ‘페이먼트뱅크(payment bank)’ 라이선스를 신청했다. 페이먼트뱅크는 예금과 결제가 가능하지만 대출은 할 수 없는 은행을 뜻한다.
방글라데시는 간편한 금융결제 수단으로 모바일 뱅킹 열기가 불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성인 대부분이 은행계좌를 갖는 것은 경제적으로 큰 파급력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은행계좌가 있다면 가계저축이 늘어 소비를 확대할 수 있고 헬스케어와 교육에 대한 투자도 늘어날 수 있다. 은행이 아닌 비공식적인 루트로 돈을 빌려 고리에 시달리는 문제점도 완화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