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판매 책임자 규정 입장차은행장 제재 수위 결론 못 내려금감원 “은행마다 검사결과 달라타 금융사 징계 바로미터 아냐”
금융감독원의 라임·디스커버리펀드 관련 IBK기업은행에 대한 제재심의위원회에서 ‘행위자 및 감독자’ 입증이 핵심 변수로 확인됐다. 행위자를 특정하면 내부 통제 책임을 갖는 감독자가 규정된다는 점에서 행위자와 감독자 입증은 금융회사 최고경영
대규모 원금손실을 낸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에 대한 세 번째 제재심의위원회가 30일 열린다.
금융감독원은 이날 오후 2시부터 제재심을 열고 우리ㆍKEB하나은행 제재 수위를 확정하는 본격적인 심의를 한다.
앞서 금융당국은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겸 우리은행장과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에게 중징계에 해당하는 '문책 경고'를 통보
대규모 원금손실을 부른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와 관련한 금융감독원의 2차 제재심의위원회가 22일 열렸으나 결론이 나지 않았다. DLF 판매 은행인 우리·하나은행과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겸 우리은행장,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DLF 판매 당시 하나은행장)의 제재 수위는 30일 열리는 제재심에서 결정이 날 전망이다.
금감원은 이날 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22일 신한금융지주 조용병 회장의 1심 재판 결과에 대해 “아직은 확정판결 나오기 전”이라며 “신한의 주주와 이사회가 여러 상황을 생각해서 거기에 맞는 결정을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날 은성수 위원장은 오후 4시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본점에서 열린 ‘은행권 포용금융 간담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채
대규모 원금 손실을 낸 해외 금리연계형 파생결합상품(DLF) 사태에 관한 2차 제재심의위원회가 22일 열린다.
16일 대심을 마무리하지 못한 우리은행이 대상이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은 1차에 이어 이날도 직접 회의에 참석해 적극 소명할 예정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그에게 중징계에 해당하는 '문책 경고'를 통보했다. 임원이 중징계를 받으면 연
금융권이 22일 신한·우리·KEB하나금융지주 경영진의 거취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은 채용비리 혐의와 관련한 법원 선고가 있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겸 우리은행장과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은 대규모 원금 손실을 부른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와 관련해 금융감독원의 두 번째 제재심의위원회가 예정돼 있다. 법원과 금융당국의 결정에 따
대규모 원금손실을 낸 해외 금리연계형 파생결합상품(DLF) 제재심의위원회가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이달 말 추가 회의를 열기로 했다.
금감원은 16일 DLF 제재심을 열고 우리ㆍKEB하나은행의 경영진 징계 수위를 논의했다.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회의를 진행했으나, 양측의 치열한 공방 속에 결국 징계안을 확정 짓지 못했다.
금감원
대규모 원금손실을 낸 해외 금리연계형 파생결합상품(DLF) 사태에 관한 제재심의위원회가 시작됐다.
금융감독원은 16일 오전 제재심을 열고 우리ㆍ하나은행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임직원의 징계수위를 논의하고 있다.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은 법률대리인과 함께 참석해 징계수위에 관한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겸 우리은행장은 오후에
KEB하나ㆍ우리은행이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와 관련해 투자자들에게 자율배상하기로 결정했다. 금융감독원의 제재심을 하루 앞둔 상황에서 발표한 것으로 은행과 경영진의 징계 수위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KEB하나은행은 15일 'DLF 배상위원회' 첫 회의를 열고 자율조정 배상 절차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12월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오는 16일 열리는 해외 금리연계 파생결합상품(DLF) 사태 제재심의위원회에 대해 "어떤 결론이 나도 존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원장은 14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대출사기・불법대출광고 스팸문자 대응 시스템 구축 업무협약식' 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그는 "16일 진행되는 제재심에 대해 잘 경청하도록 하겠다
대규모 원금손실을 낸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에 대한 제재심의위원회가 이번주 열린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과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에게 사전 통보된 중징계 안이 확정될지가 관건이다. 금융감독원은 이번 사태를 내부통제 문제로 규정하고 최고경영자(CEO) 중징계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하지만, 우리ㆍKEB하나은행은 제재 근거가 없다며 맞서고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