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는 16일 7월 정기분 재산세 1614억을 부과하고 이달 말까지 납부를 당부했다. 이는 지난해 1567억에 비해 3%포인트 늘어난 금액이다.
3개 구 모두 지난해에 비해 재산세가 오른 것은 주택가격 상승과 공동주택 신축에 따른 세수 증가 때문으로 풀이된다.
처인구는 14만8600건에 대해 총 425억원을 부과했다. 이는 전년 410억원 대비 3
윤석열 정부가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 폐지를 확정했다. 공시가격의 ‘시세 90%’ 수준 인상을 목표로 문재인 정부가 공시가격 인상을 추진한 지 3년 만이다. 정부는 올해 공시가격 인상률을 지난해 수준으로 동결한 뒤 ‘근본적 재검토’를 언급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공시가 폐지가 긍정적이지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예상된 일인
내년도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시세반영률)이 동결됐다. 이에 공동주택 기준 현실화율은 올해 수준인 69%로 결정될 예정이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2020년 수준의 현실화율을 반영한 것이다. 아울러 문재인 정부에서 시작된 공시가 현실화 계획은 폐지까지 포함해 원점에서 재검토한다. 구체적인 개편안은 총선이 끝나고 내년 7~8월쯤 발표할 계획이다.
내년도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시세반영률)이 동결됐다. 이에 공동주택 기준 현실화율은 올해 수준인 69%로 결정될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2020년 수준의 현실화율을 반영해 현실화율 인상에 제동을 걸었다. 세 부담 축소 등을 통해 국민 부담을 덜고,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기존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은 원점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 개편안 마련이 2년 연속 지연될 전망이다. 현행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 체계 안에서 부분적인 개선만으로는 구조적 문제와 국민 부담 확대 등 상황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결론이다. 다만, 구체적인 개편안 제시는 이뤄지지 않고 개편 필요성만 거듭 언급됐다.
국토교통부와 한국조세재정연구원(연구원)은 20일 서울 서초구 한국부동산원
주택 보유세가 문재인 정부 5년간 7조 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2016~2021년 주택분 보유세(종합부동산세와 재산세 합산)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6년 3조9392억 원이었던 보유세액은 지난해 10조8756억 원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수도권(서울·인천·경기)은 2016년에 비
서울시는 주택 보유세 제도 개편안 논의를 위한 ‘세제개편자문단’을 구성했다고 25일 밝혔다.
서울시는 실거주 1주택자 세금 부담 가중과 은퇴 고령자 세 부담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문단을 조직했다. 개편안은 4~5월 중 대통령 인수위원회에 전달해 차기 정부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자문단은 원윤희 교수(전 서울시립대학교 총장)를
문재인 정부 들어 4년간 부동산 재산세가 3조8000억 원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의 재산세 증가액이 전체 재산세 증가액의 약 20%를 차지했다.
1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정의당 이은주 의원이 행정안전부와 전국 지자체로부터 받은 재산세 부과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부동산 재산세(토지·건축물·주택) 부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 서울에서 주택을 소유한 사람들이 내는 재산세 인상 상한선인 30%까지 오른 가구가 올해 87만 가구로 나타났다. 서울에 자기 집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30% 이상이고, 이들에 부과된 주택분 세금액만 7559억136만 원이었다. 집값이 폭등하면서 세금 기준인 공시가격이 크게 오른 탓이다. 5년 전인 2017년과 비교하면, 재산세 인
서울에서 공시가격 6억 원을 초과하는 주택을 보유해 재산세 상승률이 상한선인 30%까지 오른 가구가 올해 87만 가구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서울시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에게 제출한 ‘2017~2021년 주택분 재산세 및 공시지가 현황’에 따르면 공시가격이 6억 원을 초과해 재산세 부담이 30% 상한까지 오른 가구는 올해 87
서울에서 주택 재산세를 나눠 내는 분납 신청 건수가 지난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민의힘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2016∼2020년 서울시 주택분 재산세 분납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6년 37건에 불과했던 분납 신청은 2017년 49건, 2018년 135건, 2019년 247건으로 증가
매년 공시가격 인상으로 종합부동산세를 부담하는 가구가 큰 폭으로 늘면서, 과세 대상 기준을 변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 공시가격 9억 원을 초과하는 1주택 보유자나, 보유 주택의 합산 공시가격이 6억 원을 초과하는 다주택자는 종부세 대상이 된다.
업계에서는 집값이 계속해서 오르는 만큼 1주택자에 한해 9억 원 기준을 대폭 높여야 한다는
종합부동산세 고지(신고) 및 납부 관련 Q & A
Q. 홈택스의 종합부동산세 관련 서비스 중 공인인증서로 접속이 필요한 것은?
Q. 종합부동산세 과세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A. 주택 또는 토지 보유자에 대하여 1차적으로 부동산 소재지 관할 시․군․구에서 재산세를 부과하고, 2차적으로 전국에 소재한 각 유형별(주택, 종합·별도합산토지) 과세대상 재산
취득세 중과 대상 다주택자를 판단할 때 오피스텔과 분양권, 입주권도 주택 수에 포함될 전망이다.
2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해당 내용을 포함한 지방세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번 개정안에는 취득세를 낼 때 주택 수에 넣지 않았던 주거용 오피스텔과 분양권, 재개발 및 재건축 입주권도 주택과 같이 합산해 다주택자 여부를 따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29일 "10월 중저가 부동산에 대한 재산세율 인하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회의에서 중저가 주택 보유자의 재산세 부담이 과중하다는 김상훈 의원 지적에 이렇게 답했다.
그는 "올 10월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을 발표할 때 재산세율 인하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라며"10월 중저가
지난해 주택분 재산세 증가율이 세(稅) 부담 상한선인 30%까지 이른 가구가 서울에서만 57만 가구가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김상훈 국회의원이 국토교통부와 서울시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분 재산세(공시가격 6억 원 초과 기준)가 전년 대비 30% 늘어난 가구는 서울에서만 57만6294가구였다. 이들이 지난해 부과받은 주택분 재산세는 84
최근 집집마다 불청객이 찾아왔습니다. 재산세 고지서입니다.
7월 부과되는 재산세는 6월 1일 기준으로 납세자가 소유한 주택과 건축물, 선박, 항공기 등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6월 1일 이후 주택 등을 팔았더라도 6월 1일 기준 소유자에게 부과됩니다.
주택분 재산세 납부 기일은 금액에 따라 다른 데요, 20만 원 이하라면 16일부터 이달 말까지
서울에서 재산세가 30%까지 오른 가구가 3년 새 5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의 연이은 공시가격 인상으로 세부담 상한 가구가 많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자유한국당 김상훈 의원에게 제출한 ‘최근 3년간 주택분 재산세 과세 현황’에 따르면 재산세가 전년 대비 상한선인 30%(공시가격 6억 초과 기준)까지 오
행정안전부는 주택 등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재산세를 16∼30일에 납부해야 한다고 16일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재산세는 매년 6월1일을 기준으로 토지와 주택, 건축물, 선박, 항공기를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된다.
16일부터 30일까지는 주택분 재산세의 절반과 토지분 재산세를 납부하는 기간이다. 주택분 재산세는 7월과 9월에 절반씩 납부한다.
재산세 납부 기한은 7월 31일이다.
재산세 납세 대상은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주택·건축물·토지·선박·항공기 소유자다.
7월에는 주택분 절반과 건축물·선박·항공기, 9월에는 주택분 나머지 절반과 토지에 대해 부과된다. 주택분 재산세는 7월과 9월에 절반씩 납부하므로, 지난 7월에 이어 남은 절반을 9월에 납부하는 것이다. 재산세 본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