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주택의 표준건축비를 현실적인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주택산업연구원은 현재 분양아파트 건축비 상한 가격(기본형건축비)의 55% 수준까지 떨어진 상태라며 임대아파트 상한 가격(표준건축비)의 조속한 현실화가 시급하다고 11일 밝혔다.
분양아파트 건축비 상한 가격은 지난 1977년 최초 도입돼 1997년 외환위기
정부가 아파트 분양가상한제와 고분양가심사제의 개선을 위한 검토에 들어갔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주 주택건설업계와의 간담회에서 “신속한 주택공급에 걸림돌이 되는 부분의 합리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분양가상한제·고분양가심사제·주택사업 인허가 체계 등으로 인한 애로가 크다는 업계 건의에 이들 규제의 완화를 시사한 점에서 주목된다.
분양가상한제
이 정부의 부동산정책 집행자들에게 정말 궁금한 게 있다. 집은 주거공간이냐, 자산이냐 하는 우문(愚問)이다. 그들 대다수는 집 한 채씩 갖고 있다. 두 채 이상인 사람도 많다. 물려받은 ‘부모 찬스’가 아니라면, 수십 년 아끼고 저축한 종잣돈에 은행에서 빚낸 돈 보태 장만했을 것이다.
대개 그렇다. 예나 지금이나 서민들의 꿈은 내집 마련이고, 그걸
문재인 대통령이 또다시 강도 높은 부동산 대책을 예고했다. 문 대통령은 14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부동산 투기를 잡고 가격을 안정시키겠다는 의지는 확고하다”며 “지금의 대책이 시효를 다했다고 판단되면 더 강력한 대책을 끝없이 내놓겠다”고 말했다. 또 “일부 지역은 급격한 가격 상승이 있었는데 원상회복돼야 한다”면서, “보유세는 높이고 거래세는 낮추는 방향으
정부가 또 ‘12·16 집값잡기 대책’을 내놨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래 18번째다. 이번에도 억제와 금지 일색이다. 종합부동산세 강화, 고가 주택 담보대출 금지, 분양가상한제 확대, 주택 공시가격 인상 등이다. 정부가 흥분한 상태인 것 같고, 약발은 의문이다.
‘미친 집값’이다. 누를수록 더 솟아오른다. 서울 아파트값이 지난 3년 동안 40% 급등
올해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값이 계속 오르면서 연간 단위로 역대 최장기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지난 2년 반 동안 무려 17차례의 부동산 규제 조치를 쏟아냈지만, 집값이 안정되기는커녕 거침없이 뛰는 양상이다. 앞으로의 시장여건을 보아도 오름세가 멈춰질 것 같지 않다.
KB국민은행이 8일 내놓은 주택가격 동향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올
정부가 민간아파트 분양가상한제를 강행한다. 국토교통부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확대 적용을 위한 세부안을 마련한 데 이어, 다음 주 초 당정협의를 거쳐 최종 발표키로 했다. 서울 강남권 재건축 단지들에 규제를 집중하는 방식을 예고했다. 하지만 그렇지 않아도 건설경기가 바닥이고, 잇따른 대외 충격으로 금융시장까지 휘청이는 상황에 경제를 더욱 악화시킬 잘못된 정
『최영진 대기자의 현안진단』
지난 2015년 4월 사라졌던 아파트 분양가 상한제가 다시 등장할 조짐이다. 과열되는 서울 강남 재건축시장을 진정시키 위해서다.
분양가 자율화가 주택가격을 부추기는 공범으로 지목되고 있으니 상한제 재 도입은 불가피하다는 분위기다.
상한제 폐지 이후 주택업체들이 경쟁적으로 분양가를 올리는 바람에 기존 주택가격까지 부추겼다는
『최영진 대기자의 현안진단』
결국 우려했던 문제가 현실화되고 말았다. 아파트 분양가 얘기다.
주택업체들이 서로 가격 올리기 경쟁을 벌이는 바람에 주변 집값도 훌쩍 뛰었다. 서울 강남권의 아파트값은 웬만하면 3.3㎡ 당 3000만원이 넘는다. 신규 아파트 분양가는 이미 4000만을 넘어 4400만원 대를 육박한다.
정부가 분양가 상한제를 폐지한 탓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