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략 산업에 꼭 필요한 해외 기업에 대해 직접 투자를 늘릴 수 있도록 정부, 국회, KDB산업은행, 한국투자공사(KIC), 국민연금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한국형 테마섹’을 만들자.”
강석훈 산은 회장은 20일 서울 여의도 산은 본사에서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분들과 만나보니 산유국들은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이 임기 반환점을 돌았다. 지난 1년 6개월여간 금호타이어, STX조선해양, 제너럴모터스(GM), 대우조선해양에 이어 아시아나항공까지 자동차·조선·항공 등 굵직한 기업들의 이슈가 터질 때마다 그 중심에는 이 회장의 구조조정 철학이 자리매김했다. 전임 산업은행 회장들이 해결하지 못했던 숙제를 그는 임기 전반기에서 일사천리로 처리했다.
KDB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이 8일 예정대로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노조와 지역사회의 반발, 기업결합 심사 등 ‘통합조선법인’이 출범하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여전히 많다.
10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본계약 체결로 대우조선해양 민영화가 본궤도에 오르긴 했지만, 최종 완료되기까지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다. 앞서 이동걸
KDB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 그룹은 8일 오후 3시 서울 여의도 본점에서 '대우조선 민영화를 위한 본계약 체결식'을 열고 본계약 체결을 완료했다. 이로써 지난달 31일 양측이 체결한 기본합의서의 주요 조건에 대한 확정적 효력이 발생하게 됐다.
기본합의서에 따르면 현대중공업 그룹이 대우조선의 최대주주가 되고 산업은행은 현대중공업의 물적분할로 탄생하
대우조선해양 민영화가 오는 8일 최종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우조선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은 이날 오후 이사회를 열어 현대중공업그룹에 대우조선 지분을 넘기는 안건을 상정한다. 이변이 없는 한 안건은 가결될 것으로 보인다.
이후 산은은 현대중공업지주 및 현대중공업과 본계약을 체결한다.
산은이 현대중공업지주 산하 조선합작법
정성립대우조선해양 사장이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 사장은 최근 대우조선해양 경영정상화관리위원회에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경영정상화관리위원회는 대우조선해양에 공적자금을 지원한 채권단이 경영정상화 과정을 관리·감독하기 위해 만든 조직이다.
정 사장은 지난해 연임에 성공했고 남은 임기는 2021년 5월까
KDB산업은행이 추진 중인 중간지주사 설립을 통한 대우조선해양 민영화가 되레 조선업 전반에 대한 정부의 영향력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빅2’ 대우조선을 넘기는 대신, 통합법인의 2대 주주에 올라 ‘빅1’ 조선업체를 관리해 나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낙하산 인사’ 확대 등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