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틸다 스윈턴 명언
“기억하세요. 인생은 조금씩 나아진답니다.”
영국 배우. 1986년 ‘카라바지오’로 데뷔한 그녀는 이후 ‘전쟁 레퀴엠’ ‘에드워드 2세’ 등 여덟 편의 영화를 데릭 저먼과 함께 작업하며 배우로 성장을 거듭했다. 1992년 ‘올란도’를 통해 세계 무대에 이름을 알린 그녀는 중성적이고 신비한 매력으로 독보적인 캐릭터를 구축해 예술영화와
☆ 존 휠러 명언
“법칙이 없다는 법칙만 빼면 법칙은 없다.”
‘블랙홀’을 처음 쓴 미국 물리학자. 닐스 보어와 함께 핵분열 이론을 만들고, 2차 세계대전 중에는 미국의 원자폭탄 개발에 참여했다. ‘우주는 하나가 아니라 무한히 존재한다’라는 독창적인 다우주론(多宇宙論)을 제기한 그는 다양한 비유를 들어 물리학을 명쾌하게 설명해 ‘시인을 위한 물리학자’라
NH투자증권은 은행업이 최근 KB금융지주의 ‘탈석탄 금융’ 선언을 필두로 국내 금융업 내에서도 리스크 관리 전략의 핵심으로 ‘ESG(환경, 사회적책임, 지배구조)’, E(환경)를 향한 능동적 변화가 포착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2018년을 시작으로 국내 주요 금융기관이 석탄금융 중단을 선언하고 있는 상황이다.
11일 조보람 NH투자증권 연구원
인류 역사는 늘 걱정과 함께했다. 그중 하나가 핵겨울(nuclear winter)이다. 1983년 12월 23일, 학술지 ‘사이언스’. 당대 최고의 물리학자로 불리던 칼 세이건과 그의 제자 오언 툰 콜로라도대 볼더캠퍼스 교수 등 5명의 과학자가 쓴 논문이 실렸다. 핵전쟁이 터지면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핵겨울’이 발생한다는 내용이었다. 논문이 가져다준 충
정부가 2050년 탄소제로 목표를 선언한 가운데 녹색금융을 촉진하는 법안이 국회서 발의됐다. 1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녹색금융 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녹색금융공사를 설립하는 ‘녹색금융 촉진 특별법’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녹색금융을 활성화해 국토의 지속가능하고 균형적인 발전과 저탄소 경제구조로 전환을 촉진하자는 게 주요
시중은행들은 올해 들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그룹의 핵심가치로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환경오염의 주범인 석탄발전에 최근 6년간 1조1058억 원 규모의 금융을 지원하거나 직접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말로만 ESG를 내세울 게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 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시중은행과 금융감독원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전 세계가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책을 시행하면서 각국에선 석유 의존도 낮추기에 돌입했다. 이에 회계업계에선 재생에너지 시대를 대비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탈(脫)석탄 시장 흐름이 국내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노력은 부족하다며 관련 연구를 촉구했다.
세계적인 탈석탄 흐름에 발맞춰 지난해 화력발전에 쓰이는 연료탄
금융지주사의 탈석탄 선언은 의미가 남다르다. 지주사는 은행ㆍ증권ㆍ보험 등 금융시장별 계열사를 보유했기에 시장 파급력도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국내에선 KB금융그룹이 금융지주사 최초로 ‘탈석탄’을 선언했다. KB금융은 그룹 ESG 방향성에 맞춰 각 계열사는 친환경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에 머리를 맞댈 계획이다. 시장에선 KB금융이
“탈석탄 금고 지정은 특정 금융기관을 배제하자는 의미가 아니다. 기후 변화와 미세먼지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시장 규칙을 바꾸자는 취지다”
‘탈석탄 금고’ 개념과 정책을 처음으로 제안한 이종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사무국장은 이투데이와 인터뷰에서 “지자체 등 ‘탈석탄 금고 선언’은 국내 금융기관의 탈석탄 금융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정책”이라며 동참을 촉구했
국내 금융기관들의 ‘탈석탄 선언’을 이끌려면 한국형 녹색분류체계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후금융 전문가는 무엇이 ‘녹색’인지 명확히 구분하고,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을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관련 기준을 토대로 비재무공시를 강화해 ESG 투자 환경을 조성할 것을 제언했다.
정부, ‘탈석탄’ 외치면서 해외 석탄개발...‘이중적’ 행
은행이나 보험, 증권사를 선택할 때 우리는 대개 금리, 수수료, 보장성 등을 우선 살핀다. 그러나 최근 시민사회는 ‘한 가지’ 더 따져보기 시작했다. 기후 위기를 앞당기고 지구를 파괴하는 금융기관인지 말이다.
금융과 환경은 관계없는 영역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다. 발전소 건설, 석유 채굴 같은 사업인 경우, 은행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없
‘그린뉴딜’을 내걸은 정부와 달리 국책은행이 석탄화력발전사업 금융 지원에 나서면서 엇박자를 내고 있다. 국책은행들이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사업에 4000여억 원 규모의 금융을 지원하거나 직접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업계에선 전 세계 자본이 석탄산업에서 빠르게 빠져나오고 있지만 정작 국책은행은 시장 흐름을 쫓아오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11일 국회
“기업의 기후위기 적응력이 곧 ‘시장 생존력’이다”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가진 이투데이와 인터뷰에서 “세계 자본이 녹색 산업으로 향하고 있다. 기후 변화 민감성이 떨어진 기업은 살아남기 어려운 시대”라며 “‘녹색투자금융공사’를 중심으로 정부 정책과 기업 이윤추구 활동이 맞물릴 수 있는 투자 환경을 조성해야
기후 변화로 인해 그동안 상상하지 못했던 위험이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국제노동기구(ILO)의 자료를 분석, 지구의 급속한 온난화가 폭염을 초래해 인류의 건강과 경제를 좀 먹고 있다고 23일 보도했다. 기후 변화로 인한 경제의 파괴적 위기인 ‘그린스완’이 인류를 덮치고 있는 것이다.
작년에 이어 올여름도 지구촌이 펄펄 끓고 있다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집중호우, 지구 온난화 등 기후·환경 변화에 대한 금융리스크 관리에 나섰다.
금융위원회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 부처와 금융권,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UNEP FI), 녹색기후기금(GCF)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녹색금융 추진 태스크포스(TF)의 첫 회의를 열었다.
TF는 기후·환경의 예기치 않은 변화가
지난달 끝난 세계경제포럼(WEF) 연차 총회(다보스포럼)의 최대 이슈는 단연 ‘기후변화 위기’였다. 올해 50주년을 맞은 경제 포럼이라는 명칭이 무색할 정도로 올해 스포트라이트는 기후변화에 쏠렸다. 여기에는 56세 차이 ‘앙숙’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청소년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의 만남이 관심을 끈 탓도 있지만, 기후변화 문제가 더는 환경 문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