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ㆍ귀촌ㆍ귀어 가구 수가 2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 도시에 사는 베이비부머의 노동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결국 농촌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일자리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통계청이 집계한 2023년 귀농어·귀촌인 통계를 보면 지난해 귀농·귀촌·귀어 가구는 각각 1만307가구, 30만6441가구, 716가구로 전년대
통계청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농가인구는 208만9000명으로 2018년 231만5000명과 비교해 9.7% 감소했다. 어가인구는 2018년 12만 명에서 2023년 8만7000명으로 27.5% 급감했다. 농가인구 비율은 4.1%, 어가인구는 0.2%에 불과하다. 지난해 4분기 합계 출산율이 0.65명으로 사상 첫 0.6명대 분기 출산율을
지난해 귀농·귀촌 가구 수가 1년 전보다 5.6% 증가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일자리와 주거 확보를 위해 귀농·귀촌 흐름이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은 23일 발표한 '2021년 귀농어·귀촌인통계'에서 지난해 귀농·귀촌가구는 총 37만7744가구로, 2020년(35만7694가구)보다 5.6%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귀농·귀촌 인구를 늘리기 위해 관련 예산을 342억 원으로 증액하고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새로 도입한다. 농촌 일자리도 확대하는 등 도시민의 수요를 반영한 귀농ㆍ귀촌 정책을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귀농·귀촌 지원 예산으로 지난해보다 139억 원 증액한 342억 원을 편성했다고 12일 밝혔다.
최근 귀농·귀촌 인구는 감소세다
중장년층에게 맞춤형 일자리 정보를 제공해 이들이 경험과 열정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스마트 앱 ‘프로하트’가 출시됐다.
프로하트는 인공지능 기반 추천 알고리즘과 빅데이터 분석을 적용한 중장년 전용 플랫폼이다.
연령, 성별, 지역, 자격증 등에 따라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맞춤형)된 정보를 제공하는 게 핵심이다.
주요 기능은 △하
귀농ㆍ귀촌인 10명 가운데 6명은 귀농ㆍ귀촌이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31일 농촌진흥청이 발표한 '귀농ㆍ귀촌인 정착실태 장기 추적 조사'에 따르면, 귀농ㆍ귀촌인의 59.1%는 귀농ㆍ귀촌이 "매우 성공적"이라거나 "성공적"이라고 평가했다. 2014년 조사(46.2%)보다 긍정적인 응답이 11.9%포인트(P) 높아졌다. 귀농ㆍ귀촌이 "실
대전 지역 최초로 찾아가는 귀농귀촌행사가 열린다.
전라북도와 전라북도농어촌지원센터가 26, 27일 양일간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여는 ‘2019 전라북도 귀농귀촌 상담홍보전-대전편’을 개최한다.
‘귀농귀촌, 전라북도에서 답을 찾다’라는 주제로 도내 귀농귀촌 정책을 펼치는 13개 시·군이 참여해 귀농귀촌상담관, 귀농귀촌교육관, 귀농귀촌정책홍보
최근 베이비 부머를 중심으로 한 농업·농촌 생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 이주에 도움이 되는 정확한 정보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12일 사회적협동조합 진도함께는 ‘찾아가는 귀농 설계 교실’을 실시한데 이어 오는 13일, 16일, 3월 16일, 23일 총4회에 걸쳐 연속 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진도농부들과 함께하는 이번 무
내년부터 귀농·귀촌 자금을 부정한 방식으로 받거나 목적 외로 사용하면 법적 처벌을 받게 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귀농·귀촌 자금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해 내년부터 사후 관리 제도를 강화한다고 26일 밝혔다. 최근 일부 귀농·귀촌인이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금을 사치품 구매, 기획부동산 투자 등에 유용한 것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농식품부는 이 같은 일이
정부가 지난해 귀농·귀촌 및 귀어 인구가 50만 명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이 중 2030 청년층 세대가 절반에 이른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농촌 정착에 실패해 돌아오는 역귀성 인구가 반영되지 않은 반쪽짜리 통계라는 지적이다.
30일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가 공동으로 내놓은 귀농어·귀촌인 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은 2만559명, 귀촌은
정부가 취업난으로 증가하는 귀농‧귀촌인을 위해 초기 정착자금 지원을 늘리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귀농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사업에서 1세대당 주택구입 자금 한도를 5000만 원에서 7500만 원으로 상향한다고 29일 밝혔다. 융자금 규모는 추가경정예산을 반영해 당초 2000억 원에서 3000억 원으로 증액할 계획이다.
귀농인의 주거문제 개선을 위해
귀농·귀촌인을 유치하기 위한 전국 농어촌 자치단체들이 물심양면으로 나서고 있다. 주거와 영농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은 기본이고 이사비, 집들이비, 장학금에 종량제 봉투까지 지원하고 있다.
◇창업자금, 체험단지, 정착지원금 제공하는 자치단체들…‘주민 역차별’ 반발도
전북 순창군은 귀농·귀촌하는 도시민에게 최고 1천만 원의 소득사업비를 준다. 농사를 짓는
정부가 향후 5년간 30대 청년세대 1만 가구의 귀농을 유도하기로 했다. 귀농 5년 차 가구 소득을 농가 평균 소득의 90%까지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귀농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2645만 원으로 평균 농가소득(3722만 원)의 71.1% 수준에 그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청년층의 농업 창업(창농)을 촉진하고 정착을 뒷받침하기 위해 5년 단위(2017
우리 농촌에 점차 활기가 다시 찾아들고 있다. 여러 가지 이유로 귀농·귀촌을 결심하고 정착해 결실을 맺은 농업인이 전국 각 지역에서 나오면서부터다.
#.대전에서 중등교사로 32년간 교편을 잡았던 강충호 씨는 교감으로 승진할 무렵 귀농을 결심했다. 오랜 주말부부 생활과 쌓인 피로가 이유였다.
“교감하고 교장하면 뭐합니까. 정년까지 혼자 살 텐데 참 부질
농촌이 젊어지고 있다. 도시에서 이주하는 귀농·귀촌인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새롭게 선택한 농촌생활에 만족감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귀농·귀촌 규모는 32만9368가구, 48만6638명으로 전년 대비 6.2% 증가했다. 최근 3년간(2013~2015년) 귀농·귀촌 가구는 베이비부머 은퇴와 맞물려 매년 6% 수준으로 늘었다.
특히 40대 이하
귀농‧귀촌인은 자신의 사회경제적 기여로 ‘인구 증가’를 가장 높이 평가했다. 지역 주민은 귀농‧귀촌 증가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로 ‘농어촌 마을의 인구와 활력 유지’를 꼽았다.
농촌진흥청은 귀농・귀촌인의 안정적 농촌사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년차 귀농・귀촌인 장기 추적 조사’를 농촌경제연구원과 함께 실시하고, 분석 결과를 발표했
정부는 10일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6~2020)에서 앞으로 5년이 인구절벽에 대응할 수 있는 마지막 '골든타임'이라고 보고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인구는 2030년 5216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계속 감소해 2091년에는 3000만명 이하로 줄어들 전망이다.
당장 2018년부터는 고교 졸업자 수가 대학 입학정원보
은퇴 후 농촌을 찾는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해 귀농귀촌 인구가 4만 가구를 넘는 등 최근 3년 사이 귀농귀촌 가구 수가 2배 이상 증가했다. 이처럼 제 2의 인생을 찾아 새롭게 도전하는 이들이 꾸준히 늘면서 성공적인 귀농귀촌 준비 또한 은퇴 세대들의 관심사로 떠오르는 모습이다.
여유로운 시골 생활 즐기기, 전원에서의 건강 찾기, 농사일에 도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인의 6차산업화 참여 촉진을 위해 ‘제3회 6차산업화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개최해 애농영농조합법인, 홍천사랑말한우 등 10개의 우수사례를 선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지자체에서 접수한 100여개 사례에 대한 지역 경진대회(5~6월)를 거쳐 추천된 43개의 추천된 사례를 대상으로 서면ㆍ현장심사를 통해 발표심사 대상 사례
귀농ㆍ귀촌인구 100명 중 55명은 ‘1년 이상 준비’ 했고, 자신의 귀농ㆍ귀촌에 대해 46명은 ‘성공적’이라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귀농ㆍ귀촌인의 안정적인 농촌 사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함께 실시한 ‘귀농ㆍ귀촌인 정착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24일부터 12월28일까지 전국 농촌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