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해 귀농·귀촌 및 귀어 인구가 50만 명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이 중 2030 청년층 세대가 절반에 이른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농촌 정착에 실패해 돌아오는 역귀성 인구가 반영되지 않은 반쪽짜리 통계라는 지적이다.
30일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가 공동으로 내놓은 귀농어·귀촌인 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은 2만559명, 귀촌은 47만5489명으로 집계됐다. 귀농과 귀촌을 합해 지난해 농촌으로 간 인구는 49만6000명 규모다.
귀농·귀촌인과 동반가구원 중 30대 이하 젊은 층은 50.1%를 차지했다. 귀농가구원의 25.8%(5307명), 귀촌인의 51.1%(24만3413명)가 30대 이하 청년층이란 설명이다.
이에 정부는 청년 귀농인을 농업의 미래 첨단 농업인으로 육성하기 위해 올해부터 4차 산업형 귀농교육을 신규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농업용 드론 자격증 취득과정이나 2030 농산업 분야 창업과정 등의 청년 특화교육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통계는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직접 조사하는 대신,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수집·보유하고 있는 행정자료를 상호 연계해 작성한 것이다. 도시에서 농촌으로 주소지를 이전한 여부와 함께 농업인 여부 판단 시 활용하는 농지원부, 축산업등록명부를 추가로 반영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농촌에 갔다가 정착에 실패하고 돌아오는 역귀성 인구는 파악하지 않아 한계성을 드러냈다. 일각에서는 최근 충분한 준비과정 없이 경제문제로 농촌에 가는 경우가 많아 3명 중 1명꼴로 역귀성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이 같은 역귀성 규모와 원인을 파악해 대책을 마련하는 대신, 귀농·귀촌 인구가 늘고 있다는 발표에 급급한 실정이다. 이마저도 귀농·귀촌 성격이 아닌 아파트 분양 등으로 단순히 지방에 주소지를 옮긴 경우까지 통계에 잡혀 실제 규모는 훨씬 적다는 추산이 나온다.
이재욱 농식품부 농촌정책국장은 “순귀농과 순귀촌을 보려면 역귀성과 역귀촌을 파악해야 되는데 아직 통계를 못 잡고 있다”며 “그 부분도 고민해 통계를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 도시로 돌아가는 비율은 조사해 보니 6% 수준으로 높지 않았다”고 말했다.
은희훈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농사 외에도 귀촌에 대한 목적이 다양한데 이에 대한 데이터는 없다”며 “행정자료만을 갖고 역귀성에 대한 추가 데이터를 뽑기는 어렵다. 농림부에서 실제 조사를 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