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 등 원유자급률(국내생산량/국내소비량)이 처음으로 50% 밑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가격이 싼 유제품 수입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2026년 유제품 관세가 없어지면 값싼 유제품 수입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내 낙농가 보호를 위해 정부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2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
우리나라와 중국ㆍ베트남ㆍ뉴질랜드와의 FTA(Free Trade Agreementㆍ자유무역협정) 타결로 1차 산업인 농축수산업분야에서 2016년부터 20년간 연평균 435억원 규모의 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5일 정부 당국에 따르면 중국ㆍ베트남ㆍ뉴질랜드와의 FTA 타결로 농수산업분야에서 내년부터 2035년까지 총 8693억원 규모의 생산이 줄어들
정부가 4일 한ㆍ뉴질랜드 FTA 국회비준안을 국회에 제출하면서 이르면 연내 발효가 가시화됐다. 축산 강국인 뉴질랜드와의 FTA로 뉴질랜드 농ㆍ축산물의 국내 유입도 가속화하면서 국내 농•축산업계의 피해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한ㆍ뉴질랜드 FTA가 내년 발효된다고 가정할 경우, 오는 2030년까지 향후 국내 농축산물 생산액이 총 3558억원 줄어들
중국과 베트남, 뉴질랜드와의 자유무역협정(FTA)발효로 농수산업 등 분야에 피해가 예상됨에 따라 정부는 8970억원 규모의 보완대책을 마련했다.
정부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6개 연구기관과 함께 FTA 발효에 따른 산업별 영향을 분석한 결과, 1차 산업인 농축수산업분야에서 2016년부터 20년간 연평균 435억원 규모의 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가 잇단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과 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가축질병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는 축산업 농가를 지원하고자 여러 가지 대책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축산농가에서는 정책자금 금리 인하, FTA 피해보전직불제 현실화, 무역이득 공유제 등을 주장하며 현실성 있는 지원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무엇보다 정부와 축산농가들은 FTA 파고를 넘으려
최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 이어 한·뉴질랜드 FTA까지 타결되면서 국내 농축산업계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수입 농축산물이 관세혜택을 등에 업고 우리 식탁을 점령할 태세지만 국내 농축산물의 소비기반은 여전히 취약하기 때문이다. 식품업체들이 생산하는 가공식품의 식재료 가운데 70% 이상은 수입산 농축산물이며, 국산 농축산물 이용을 늘려 국내 농축산업
정부가 우유관련제품의 가격인상 최소화에 나설 예정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원유(原乳)가격 인상을 이용해 우유업체 및 식품업체들이 관련제품의 가격을 터무니없이 인상할 경우 모든 정책적 수단을 동원해 대응할 것이라고 18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자체 분석한 결과 원유가격 인상에 따른 우유업체 및 식품업체들의 가격 인상요인이 많지 않다”며
정부가 한·EU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라 피해가 예상되는 축산분야에 향후 10년 간 2조원을 지원한다. 또한 향후 5년간 화장품 및 의료기기산업 분야에도 각각 700억원과 10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정부는 17일 이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 ‘한·EU FTA 체결에 따른 국내산업의 경쟁력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 따르면 정부는 피해가
농림수산식품부는 7일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등에 대비해 원유 생산량을 제한하는 쿼터제를 도입하는 '낙농산업 발전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낙농진흥회와 젖소농가 협동조합, 유업체가 각각 자율적으로 쿼터를 정해 원유를 생산하는 생산쿼터제를 시행하고 젖소농가는 이들 진흥회나 협동조합, 유업체와 전속 계약을 맺고 원유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