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FTA 환경 하에서 국내 축산업 경쟁력을 높이고자 비용 절감과 품질 고급화, 유통구조 개선과 수급관리 체계화, 성장동력 창출에 초점을 두고 축산정책을 펼치고 있다.
구체적으로 농식품부는 축산물 생산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축비·사료비를 절감하고자 축사시설 현대화사업에 2024년까지 1조5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지원금리도 기존 3%에서 1%포인트 인하한 2%로 지원하고 농가 사료지거래자금 지원도 기존 2조원에서 2조3300억원으로 확대했다.
또 농식품부는 한우와 돼지 품질 고급화 기술 개발과 이력제 전면 실시, 원산지 표시제 강화, 농협 경제사업활성화자금을 통한 농가-지역축협-농협중앙회 간 계열화 체제 구축, 도축·가공시설 현대화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정부는 친환경 축산물 공급 활성화를 통해 수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해 적극적으로 FTA공세에 대응한다는 정책을 내놓았다.
이에 대해 축산 농가들은 한·미 FTA 체결로 15년 동안 국내 축산업 피해 규모가 7조3000억원으로 예상되는데다 한·유럽연합(EU) FTA와 영연방 3개국과의 FTA 체결은 더 큰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축산농가들은 더 현실성 있는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구제역과 AI가 창궐하고 있어 축산농가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축종별 경쟁력을 높이고 가축질병 방역체계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주장하고 있다.
농협경제연구소에 따르면 한육우산업 발전을 위해서 수입육과의 차별화를 위한 고품질 한우 생산·유통 투명화와 부산물 사료화, 송아지 생산비 절감을 통한 경영비 절감, 유통단계 축소 등 신개념 유통채녈 도입 등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양돈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질병을 근절하고 우수 종돈을 개발·보급해 생산비 절감, 삼겹살, 목살 위주의 소비문화에 따른 부위별 수급 불균형 해소, 새로운 수요 창출 등을 위해 저지방 부위를 활용한 가공제품 개발 등이 필요하다.
낙농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가공원료유 지원, 유가공산업 활성화, 학교 우유급식 확대 등을 통한 원유 생산기반 확충이 필요하고 발효유, 자연 치즈 등 다양한 유가공 제품을 직접 생산·판매하는 목장형 유가공산업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양계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질병 근절과 사육시설 현대화, 전문종계장 육성, 2.5kg 이상 대형닭 생산 확대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