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은 지속적인 쌀 소비량 감소와 과잉공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4년 우리쌀·우리술 K-라이스페스타' 행사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국산쌀 소비량은 2023년도 기준 1인당 56.4kg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다만 가공용 쌀 소비량은 2014년 이후 증가세로 쌀 소비촉진을 위해서는 식품업계의 쌀가공식품 개발지원과 홍보가 필요한 상황이
1인당 쌀 소비량이 매년 줄어들어 지난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다만 코로나19 일상회복 이후 결식 감소와 집밥 소비 증가로 감소폭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3년 양곡소비량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 부문의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전년 56.7㎏에서 0.3㎏(0.6%) 줄어든 56.4㎏으로 조사됐다.
쌀
정부가 간편 가공밥과 도시락, 떡볶이 등을 유망품목으로 지정해 육성한다. 가루쌀 생산을 늘려 수입 밀가루 수요의 10%를 대체하고, 글루텐프리인증(KGFC) 기업은 100개로 늘려 국내외 시장 선점에 나선다. 이를 통해 2028년 국내 쌀가공산업 규모는 17조 원, 수출은 4억 달러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시품부는 이 같은 내용의 제3차(2024
올해 쌀 생산량이 지난해 대비 1.6%가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단위 생산량은 늘었지만 재배면적 감소에 따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쌀 생산량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370만2000톤으로 전년 376만4000톤에서 6만2000톤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생산량은 최근 10년 중 2
올해 쌀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남는 쌀도 줄어 시장격리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통계청이 내놓은 '2023년 쌀 예상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368만4000톤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76만4000톤에서는 8만 톤(2.1%), 평년 378만2000톤보다는 9만8000톤이 적다.
올해 쌀 생산량이 감소한 것은 벼 재배면적인
정부가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아침밥 먹기 캠페인의 일환으로 10월 중순까지 GS편의점에서 도시락과 김밥 등 할인행사를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GS리테일과 협업해 '전국민 아침밥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아침밥을 챙겨 먹는 건강한 식습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국산 쌀 소비 확대를 통한 쌀가공산업을 육성이 목표다.
이에 따라 이날부터
올해 벼 재배면적이 큰 폭으로 줄어들 전망이지만 과잉 생산은 여전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벼 재배면적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벼 재배면적은 70만8041㏊로 지난해 72만7054㏊에서 2.6%, 1만9013㏊가 줄었다. 감소폭은 2017년 3.1%가 줄어든 이후 가장 크고 지난해 0.7%가 줄어든 것과 비교해도 큰
쌀 과잉 구조가 고착화하면서 생산량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두고 많은 대책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쌀 소비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은 제대로 이ㅜ러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진행되고 있는 내년 예산안 조정 과정에서 쌀 생산을 줄이기 위한 예산은 모두 1700억 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는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에서
농협이 쌀값 폭락과 산지 재고 관리를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선다. 보관 창고 지원을 비롯해 벼 수매 농협에도 자금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농협은 쌀 사업 참여농협에 대해 '쌀 산업 안정 특별지원 방안'을 수립·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먼저 농협은 올해 생산 벼 수매를 위한 창고 공간 확보를 위해 무이자자금 3000억 원을 투입해 창고 공간이 부족한
최근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쌀을 원료로 하는 막걸리와 떡, 즉석식품의 가격도 덩달아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통계청의 '5월 소비자 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쌀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30.20(2015=100)으로 1년 전보다 14.0% 올랐다. 2019년 3월(15.3%) 이후 최대 상승이다. 쌀값은 지난해 12월(11.5%) 이래 6개월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2.6%를 기록했다. 2012년 4월(2.5%) 이후 9년 1개월 만에 최고치다. 정부는 달걀 수입물량을 5월 4000만 개에서 6월 5000만 개+알파(α)로 확대하고, 이달 말 종료 예정이던 달걀 및 가공품 7종의 긴급할당관세를 연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통계청은 2일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 동향’에서 지난달 소비자
지난해 장마와 연이은 태풍으로 쌀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수요 증가로 가격은 계속 오를 전망이다.
1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8일 기준 쌀 20㎏ 평균 도매가격은 5만6240원으로 1년 전 4만7100원에 비해 19.4%가 올랐다. 평년 가격인
매년 증가세를 이어가는 쌀가공식품 수출액이 지난해 전년보다 27% 가까이 늘어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쌀가공식품 수출액이 전년 보다 26.9% 증가한 1억3760만 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10일 밝혔다. 쌀가공식품 수출액은 2018년 8930만 달러에서 2019년 1억840만 달러로 늘어나는 등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가
올해 쌀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산지 쌀값이 오르면서 정부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공익직불제 도입 첫해인 만큼 쌀 수급과 가격 안정에 각별한 신경을 쓰겠다는 각오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쌀 예상 생산량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쌀 생산량은 지난해 374만4000톤보다 11만300톤(3%) 줄어든 363만1000톤으로 전
공익직불제 도입 첫 해인 올해 쌀 수급은 균형 범위에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수확기 초기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높았지만 정부는 이달 하순부터는 재배면적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면서 쌀 가격도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11일 농림축산식품부는 '2020년도 수확기 쌀 수급안정대책'을 발표하고 올해 쌀 예상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쌀 파스타 등 쌀 가공을 위한 연구에 힘쓴 손상재 거류영농조합법인 대표가 농림축산식품부 2월 '농촌융복합산업인'에 선정됐다.
손 대표는 쌀 소비량일 줄어드는 상황에서 농촌진흥청과 쌀 가공을 위한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쌀 파스타 등 가공식품은 특허를 받는 등 경쟁력을 키워 농촌융복합산업화에 성공했다는 것이 농식품부의 선정 배경이다.
CJ제일제당은 충남 아산시에 햇반 전용 쌀을 관리하는 종합미곡처리장(Rice Processing Complex)을 완공하고 본격 가동을 시작했다고 4일 밝혔다.
이날 충남 아산시 선장면에서 박태준 CJ제일제당 전략구매담당 상무, 이주은 CJ제일제당 HMR상온마케팅담당 상무, 오세현 아산시장, 박종호 선도농협 조합장을 비롯한 관계자들과 지역 농민 등이
국내 쌀 소비량 감소 추세 속에서 CJ제일제당이 HMR 대표 제품인 햇반을 중심으로 국산 쌀 소비진작과 지역 농가와의 상생을 위한 적극적 행보를 보이고 있어 눈길을 끈다.
CJ제일제당은 올해 햇반을 비롯해 햇반컵밥, 냉동밥 등 쌀 가공품 제품 생산에 사용할 용도로 국산 쌀 6만 톤 이상을 구매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36% 구매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