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금융권과 카드업계에 따르면 올 2분기 삼성, 신한, NH농협, KB국민, 현대, 롯데, 우리, 하나SK카드로 등록금을 납부할 수 있는 대학은 총 138곳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 대학 423곳 가운데 32.6% 수준에 불과하다.
현재 등록금으로 카드를 낼 수 있는 대학은 삼성 47곳, 신한 35곳, NH농협 34곳, KB국민 26곳, 현대 20곳, 롯데·우리 15곳, 하나SK 7곳이다.
또 등록금을 카드로 받는 대학이 대부분 지방대에 쏠린 점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실제 서울대가 3개 카드사를 통한 등록금 카드 납부가 가능하며 연세대, 서강대, 성균관대, 중앙대, 이화여대 등 주요 대학들은 1개 카드사를 통해서만 등록금을 낼 수 있는 실정이다. 고려대와 한양대는 카드사와 가맹점 계약을 맺지 않아 아예 신용카드 결제가 불가능한 형편으로 나타났다. 서울 주요 대학들이 카드 결제에 대해 특히 비협조적인 셈이다.
이처럼 대학들이 등록금 결제를 거부하는 가장 큰 원인은 카드사에 내야 하는 가맹점 수수료 때문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카드사가 일반적으로 가맹점에 적용하는 수수료율은 2.5% 안팎인데, 여신금융업법에 따라 카드사는 가맹점으로 부터 원가 이상의 적격 수수료를 받아야 한다”며“그러나 카드 결제를 거부하는 대학들도 있는 탓에 일부 카드사는 1%중후 반대의 수수료를 적용중”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나 일부 대학들은 금융당국에게 등록금을‘가맹점 카드 수수료율 적격비용 예외’로 인정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이들의 요구사항을 전혀 검토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목돈 마련이 어려운 서민들의 등록금 부담을 위해 등록금 납부 편의성을 높이려면 대학들이 부담해야 하는 수수료 부담 문제가 필수적”이라며“현재 심재철 새누리당(기재위) 위원이 대학 등록금 신용카드 결제 확대 노력에 대한 협의를 진행 중인 점이 그나마 등록금 카드 결제 확대에 도움이 되길 바라는 목소리가 크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