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사 한 관계자의 한숨 섞인 질문이다.
금융당국의 압박으로 마지못해 인수한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이 금융지주사의 자산건전성을 위협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기본 업무인 소액신용대출 연체율은 나날이 늘어나고 있고 수익은 커녕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는 탓이다.
하나저축은행(구 한국저축은행)의 지난해 9월 말 기준 소액신용대출 연체율은 96%에 육박한다. 같은 기간 KB저축은행(구 제일저축은행)은 85.4%, 우리금융저축은행(구 삼화·솔로몬저축은행)은 1년 전(17.54%)과 비교해 무려 10%포인트 상승한 26.6%의 연체율을 나타냈다.
지난해 3분기까지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 4곳은 모두 순손실을 기록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금융당국은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인수한지 얼마되지 않아서 그렇다”며 안일한 답변만 늘어 놓고 있다.
지난해 1월 영업을 재개한 신한저축은행(구 토마토저축은행)이 아직 정상궤도에 오르지 못했음에도 지난해 말 신한금융지주는 예한별저축은행을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에 금융지주사들은 다시 한번 긴장하고 있다. 현재까지 예한별저축은행을 포함한 총 6 곳이 예금보험공사의 관리 아래 매각을 기다리는 중이다.
당시 신한금융이 금융당국의 압박에‘울며 겨자먹기’식으로 인수에 참여했다는 의혹이 나온다. 사실이 어떻든 금융위가 부실 저축은행을 정상화할 현실적인 대책없이 금융지주만 바라보고 있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금융당국은 금융회사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다. 공적자금을 바탕으로 살아난 금융권이 그 동안 서민금융 지원에 소홀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무리하게 떠맡은 부실 저축은행으로 금융지주의 건전성이 악화된다면 이는 고스란히 금융산업 전반으로 전이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뿐이다.
금융지주사 관계자는 “올해 금융회사의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한 가운데 예보가 관리중인 저축은행 매각이 곧 진행될텐데”라며 우려를 표시했다.
부실 저축은행을 신속히 처리하는 것 보다 중요한 건 이들 저축은행이 다시 정상화 될 수 있도록 하는 제대로 된 회생 프로그램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