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등록금을 카드로 낼 수 있는 대학이 조금씩 늘고 있다. 그러나 카드 납부가 확대되기 위해서는 대학과 카드사 간 이견이 심한 가맹점 수수료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16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최근 교육개혁협의회에서 등록금 카드납부제 대학을 확대한다는 방침을 발표한 이후 대학과 카드사 간 협의가 추진력을 얻고 있다.
호남대 등 5개 대학과 이미 제휴를 맺은 삼성카드는 건국대, 방송통신대와 제휴를 맺고 내년 1학기부터 재학생들이 카드로 등록금을 낼 수 있게 했다.
신한카드도 올해 2학기 인천대, 충북대 등 6곳에서 카드로 등록금을 받았고, 우리카드는 연세대, 한라대에서, 하나SK카드는 충남대, 부산대 등에서 각각 카드납부를 하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 한국대학교육협의회를 중심으로 대학과 카드사 간 성공적인 제휴 모델을 발굴하고 카드납부제를 시행하는 대학 명단을 공개할 계획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정부의 방침 때문인지 최근 서울시내 대학 등 5~6개 대학이 내년 등록금을 카드로 내는 것에 대해 문의를 해왔다”고 말했다.
카드납부 대학이 늘어나는 것은 매 학기마다 수백만원의 목돈을 준비해야 하는 학생, 학부모의 부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들은 카드납부제가 학생 유치에 도움이 된다. 카드사 역시 연간 현금 12조원이 오가는 등록금은 취급고 증대를 위해 아주 매력적인 시장이다.
그러나 아직 카드납부제 성장세가 큰 의미를 둘 정도는 아니다. 지난해 4년제 일반대학 189개교(본교·분교 분리) 중 카드납부제를 시행하는 대학은 33곳이었고, 카드 납부를 이용한 학생과 이용금액은 각각 1만4436명, 450억6000만원으로 전체 등록금 납부 학생 수와 등록금 총액의 각각 2.0%, 2.3%에 그쳤다.
등록금 카드납부 확대를 위해서는 대학과 카드사 간에 이견이 큰 ‘가맹점 수수료’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카드사들은 대학에서도 가맹점 수수료를 업계 최저 수준인 1.5%는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대학들은 더 낮추라고 요구하고 있다. 대학으로서는 현금으로 받아왔던 등록금을 굳이 수수료를 부담하면서 카드로 받을 이유가 크지 않은 상황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세금도 수수료를 내는데 대학이 수수료를 거의 0% 수준으로 요구하다 보니 무이자 서비스 같은 조건을 내걸어도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