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에 걸렸는데 괜찮다고 1~2달 미루자고 했는데 괜찮을 수가 있겠습니까. 다행히 진료받고 돌아가는 길인데 다른 환자들은 휴진 때문에 치료가 미뤄질까 걱정이 많은 것 같네요.”
서울대병원이 휴진에 돌입한 17일 오전 서울대병원 본관에서 진료를 마친 A씨는 “언제까지 환자들을 힘들게 할 것이냐”라며 의료계의 집단행동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전했다.
이날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시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강남센터 의료진(교수)이 의료사태의 정상화를 위한 정부의 합리적인 조치를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돌입했다. 서울대 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4개 병원 진료 참여 전체 교수 967명 중 54.7%인 529명이 휴진에 참여한다. 수술장 가동률은 62.7%에서 33.5%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본지 취재 결과, 이날 오전 서울대병원의 진료과 가운데 진료를 완전히 중단한 곳은 없었다. 병원 본관과 암병원, 어린이병원 등에서 외래 진료는 중단 없이 진행했다. 병원에는 진료와 수술을 기다리는 환자와 보호자들로 붐볐지만, 평소보다는 한산한 모습이었다.
암 치료로 병원을 찾은 B씨는 “휴진이라고 해서 사람이 적을 줄 알았는데, 생각과 달랐다. 휴진에도 불구하고 다행히 진료를 받고 돌아가는 길”이라고 말했다.
서울대 의대 교수들은 전공의와 의대생이 복귀하지 않으면 한국 의료가 붕괴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완전히 취소 △상설 의정협의체 신설 △2025학년도 의대 정원 교육 가능한 수준으로 재조정 등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이날 서울대 의과대학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무기한 휴진을 선언하며 “정부가 올해 2월 근거 없고 강압적인 정책을 발표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강 위원장은 “비대위는 출범했을 때부터 정부와 의료계 간 중재를 위해 수없이 노력했다. 더 이상은 견딜 수 없어 휴진하게 됐다. 환자를 다치거나 힘들게 하고자 하는 게 아님을 양해해달라”고 촉구했다.
방재승 비대위 투쟁위원장은 “전공의와 의대생이 복귀하지 않으면 한국 의료가 붕괴한다는 걸 확실히 알기 때문에 3개월간 지속해서 말해왔다. 하지만, 정부는 국민의 귀를 닫게 만들었고, 우리의 의견을 완전히 묵살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환자만 봤던 의사가 대정부투쟁을 하고 온 국민에게 욕을 얻어먹어야 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의대생과 전공의가 복귀하지 않으면 의료붕괴는 시작이다. 되돌릴 수 없다. 우리가 쓸 수 있는 마지막 카드가 전면 휴진”이라고 강조했다.
의대 교수들의 휴진 결정에 대해 환자단체는 재고해달라고 요구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날 입장문에서 “의도와 진심을 충분히 이해하더라도,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기한 전체 휴진’이라는 선택을 꼭 해야 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지금 당장 휴진 결정을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 왜 환자들이 의료계와 정부의 극단적인 대립 속에서 피해를 봐야 하는가”라고 지적했다.
의료계 내부에서도 집단 휴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시민의 생명과 안전이 가장 우선이다. 의료대란 상황에서 의대 교수들의 진료 중단은 벼랑 끝에 놓인 환자들의 등을 떠미는 행위다. 시민들이 의대 교수에게 바라는 것은 ‘전공의 지키기’나 진료 중단이 아니라 의료공백 상황을 정상화하기 위한 역할을 다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서울대병원에 이어 세브란스병원·강남세브란스병원·용인세브란스병원 소속 교수들도 27일부터 응급·중증환자 진료를 제외한 무기한 휴진에 들어서기로 결의했다. 삼성서울병원 등 성균관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도 무기한 휴진에 대해 논의할 전망이라 의대 교수들의 휴진 선언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