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체감 낮은 가격 인하…전문가 “기업이 상생할 때” [장바구니 물가 비상]

입력 2023-08-21 05:00 수정 2023-08-21 07: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3-08-20 18:05)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정부 인위적인 물가 개입…효과 미미” [전문가 제언]

"정부, 원료가격ㆍ환율 관리 중요"

▲지난달 라면 물가 상승 폭이 더 커지며 고공행진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6월 라면 소비자물가지수는 123.95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4% 상승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2월 이후 14년 4개월 만에 최고치다. 지난달 전체 물가 상승률은 2.7%로 라면과의 격차는 10.7%포인트에 달했다. 다만 이달엔 농심 등 4개 라면 제조업체들이 일부 제품가격을 내리면서 라면의 물가상승률도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라면을 살펴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지난달 라면 물가 상승 폭이 더 커지며 고공행진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6월 라면 소비자물가지수는 123.95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4% 상승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2월 이후 14년 4개월 만에 최고치다. 지난달 전체 물가 상승률은 2.7%로 라면과의 격차는 10.7%포인트에 달했다. 다만 이달엔 농심 등 4개 라면 제조업체들이 일부 제품가격을 내리면서 라면의 물가상승률도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라면을 살펴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유통업계의 상품 가격 ‘꼼수 인하’로 소비자들은 물가 안정을 체감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물가 변동의 본질인 원료 가격 관리에 힘쓰고 기업이 소비자와 상생하려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20일 본지 취재 결과 전문가들은 정부의 인위적인 물가 개입에 부정적인 견해를 표하며 “상품 가격은 기업이 정하고, 정부는 원료 가격을 잘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원료 인상으로 원가가 올라가는 상황에서 정부의 가격 인하 압박은 너무하다”며 “라면이나 식음료 제품의 경우 특성상 원래 단가 자체가 높지 않아 가격이 내린다고 체감하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그는 “정부가 개입하기 보다는 기업이 가격을 정할 수 있게 놔둬야 한다”며 “정부의 가격 인하 압박 효과는 일시적일 뿐이다. 잠시 가격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여도 곧 튀어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인 상황에서 가격을 내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보여주기식 가격인하로 보일 수도 있지만 기업은 살을 깎는 고통을 느끼는 상황인 만큼 너무 부정적으로만 볼 것도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인위적인 물가 개입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하는 전문가들도 기업의 상생 의지가 중요하며 정부가 기업과 적극적으로 소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왼쪽부터)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과 교수
▲(왼쪽부터)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과 교수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정부가 기업이 상품 가격을 내리라고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대신 기업도 적정한 마진을 남기고 국민과 상생하기 위해 가격 인상을 조금 자제해야한다. 꼼수를 부리지 말고 솔직하고 정직하게 기업을 운영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정부의 정책이 실효성이 있으려면 기업과 원활한 소통이 이뤄져야 한다”며 “기업이 단기적으로 가격 인하를 할 수 없다면 장기적으로 점차 가격 인하를 유도한다거나 세분된 가격 정책들을 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인위적으로 물가에 개입하는 근시안적인 대책만 세울 게 아니라 장기적으로 원료 가격을 관리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정 교수는 “정부가 수입 원가를 절감할 방안을 지원해 기업의 가격 인상 요인이 적어지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정부는 기업이 만드는 제품 가격이 아닌 원료 가격을 잘 관리해야 한다”며 “최종 소비자 가격은 기업이 결정하고 밀가루‧닭고기 등 원재료는 정부가 미래를 예측하고 수급을 조정해서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움직여야 한다”고 말했다.

원료 가격 관리를 위해서는 환율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김대종 교수는 “정부가 장기적으로 물가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무역 의존도가 75%로 매우 높고 원료 수입 비중이 특히 크다”며 “환율이 오르면 원료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정부가 외환보유를 늘리는 식으로 환율에 대해 고민도 해야 한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떤 주담대 상품 금리가 가장 낮을까? ‘금융상품 한눈에’로 손쉽게 확인하자 [경제한줌]
  • 2025 수능 시험장 입실 전 체크리스트 [그래픽 스토리]
  • "최강야구 그 노래가 애니 OST?"…'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를 아시나요? [이슈크래커]
  • 삼성전자, 4년 5개월 만 최저가...‘5만 전자’ 위태
  • 고려아연, 유상증자 자진 철회…"신뢰 회복 위한 최선의 방안"
  • 재건축 추진만 28년째… 은마는 언제 달릴 수 있나
  • 법원, 이재명 ‘공직선거법 1심’ 선고 생중계 불허…“관련 법익 종합적 고려”
  • ‘음주 뺑소니’ 김호중 1심 징역 2년 6개월…“죄질 불량·무책임”
  • 오늘의 상승종목

  • 11.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803,000
    • -1.06%
    • 이더리움
    • 4,514,000
    • -6.77%
    • 비트코인 캐시
    • 590,500
    • -10.39%
    • 리플
    • 947
    • -1.76%
    • 솔라나
    • 294,600
    • -6.06%
    • 에이다
    • 760
    • -14.51%
    • 이오스
    • 772
    • -7.54%
    • 트론
    • 251
    • +3.72%
    • 스텔라루멘
    • 17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78,050
    • -12.4%
    • 체인링크
    • 19,100
    • -11.08%
    • 샌드박스
    • 400
    • -10.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