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커지는데 인력 태부족”…인재 확보에 사활 건 K-배터리

입력 2023-04-15 08: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가파른 성장세에 배터리 업계 인력난 심화
글로벌 채용행사 열며 인재 선점 나서
대학과 손잡고 직접 인력 양성 나서기도
“관련 학과 정원 확대 등 정부 지원 필요”

▲지난달 1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인터배터리를 찾은 관람객이 SK온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뉴시스)
▲지난달 1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인터배터리를 찾은 관람객이 SK온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뉴시스)

배터리 시장이 급속도로 커지는 가운데 인력 수요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면서 인력난이 심화하고 있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글로벌 채용행사를 열거나 대학과 손잡고 직접 인력 양성에 나서는 등 인재 확보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배터리 산업의 성장세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임직원 수도 빠르게 늘고 있다. 각 사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3사의 임직원 수는 2만5996명이다. 2021년과 비교하면 1년 새 16.1%(3605명) 급증했다.

대규모 충원에도 업계는 여전히 인력이 부족하다고 입을 모은다. 배터리 3사의 채용 홈페이지에는 모두 마감 기한을 올해 말까지로 둔 연구개발(R&D) 직군 상시 채용 공고가 올라와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사업의 성장세에 비해 배터리 전문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화학이나 자동차 부품 등 관련 경력이 있는 이들도 채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는 글로벌 인재 선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글로벌 우수 인재 채용행사 ‘배터리 테크 콘퍼런스(BTC)’를 개최했다. MIT, 스탠포드, UCLA, 퍼듀 등 미국 주요 대학 및 연구소에서 선발된 석·박사 인재 4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이 자리에는 신영준 최고기술책임자(CTO) 부사장, 김기수 최고인사책임자(CHO) 전무, 변경석 최고디지털책임자(CDO) 전무 등 주요 경영진이 총출동했다. 이들은 현장에서 참석자들에게 회사의 비전, 사업부별 역할 및 직무, 인재 성장 프로그램을 직접 소개하며 인재 선점에 나섰다.

삼성SDI는 최근 중국 상하이에 R&D 연구소 ‘SDI R&D 차이나(SDIRC)’를 설립했다. 앞서 지난해 7월 독일 뮌헨에 ‘SDI R&D 유럽’(SDIRE)을, 8월에는 미국 보스턴에 ‘SDI R&D 아메리카’(SDIRA)를 각각 설립했다. 글로벌 R&D 연구소 설립은 지역별로 특화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란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8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글로벌 인재 채용 행사 BTC(Battery Tech Conference)를 개최했다. (사진제공=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이 8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글로벌 인재 채용 행사 BTC(Battery Tech Conference)를 개최했다. (사진제공=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3사는 국내 대학들과 손잡고 계약학과를 만드는 등 직접 전문 인력 양성에도 나섰다.

SK온은 지난 1월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산학협력 배터리 교육 프로그램인 ‘SKBEP’ 개설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SKBEP 지원자는 석사, 박사 과정 동안 카이스트에서 배터리 연구 관련 커리큘럼을 이수한다. 학위 취득과 동시에 SK온 취업이 보장된다. SK온은 선발 학생에게 등록금 및 별도의 개인 장학금도 지급한다.

SK온은 지난해부터 성균관대·한양대·울산과학기술원(UNIST)과도 각각 산학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연세대, 한양대와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공동 연구하기 위한 산학협력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

삼성SDI 역시 서울대, 카이스트, 포스텍(포항공대), 한양대, 성균관대 등 국내 주요 대학과 배터리 인재 양성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 LG에너지솔루션도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와 학위 취득과 동시에 취업이 보장되는 계약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다만 배터리 관련 학과의 정원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한 학교의 학과 정원을 여러 업체가 나눠 가져야 하는 등 이조차도 충분치 않다는 게 업계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인재 확보를 위해 다수 학교와 계약학과를 운영하고 있지만, 교육 정책상 정원에 제한이 있는 상황”이라며 “배터리가 미래 먹거리 산업이 될 수 있는 만큼 계속해서 정부에 관련 학과 정원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3,707,000
    • +3.78%
    • 이더리움
    • 4,405,000
    • -0.32%
    • 비트코인 캐시
    • 603,000
    • +1.52%
    • 리플
    • 810
    • -0.49%
    • 솔라나
    • 291,600
    • +2.35%
    • 에이다
    • 809
    • -0.74%
    • 이오스
    • 782
    • +6.83%
    • 트론
    • 231
    • +0.87%
    • 스텔라루멘
    • 153
    • +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450
    • +2.52%
    • 체인링크
    • 19,420
    • -3.53%
    • 샌드박스
    • 404
    • +2.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