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일자리가 85만 개 늘어났지만, 그 가운데 절반 이상을 60세 이상 고령층이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정부의 공공 일자리 사업 등으로 노인 일자리가 늘어난 영향이다. 반면, 인구 감소 등으로 인해 30대 일자리는 감소했고, 2030 청년층의 일자리는 5만9000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통계청은 8일 발표한 '2021년 일자리행정통계'에서 지난해 연간 일자리는 2558만 개로, 1년 전보다 85만 개(3.5%)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의 일자리가 전년 대비 47만 개(11.9%)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전체 일자리 증가분 가운데 절반 이상(55.3%)은 60세 이상 고령층 일자리였던 셈이다. 50대 일자리는 23만 개(3.8%), 40대 일자리는 10만 개(1.6%) 늘면서 뒤를 이었다.
반면 30대 일자리는 1000개(0.1%) 감소했고, 20대 일자리도 6만 개(1.9%)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30 전체 청년층 일자리로 보면 전년 대비 5만9000개 증가해 60세 이상 고령층 일자리 증가분의 12.5%에 불과했다. 19세 이하 일자리는 전년 대비 1만 개(-3.7%) 감소했다.
앞서 통계청과 기획재정부 등은 지난해 30대 일자리 감소와 관련해 인구 감소의 영향이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차진숙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30대 일자리는 본래 비중이 높았던 제조업과 도·소매업에서 많이 감소했다"며 "60세 이상 일자리는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 가장 많이 늘었고, 제조업과 건설업 등에서도 많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은 정부의 공공 부문 일자리가 많은 업종으로, 지난해 정부의 노인 일자리 사업이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업 일자리가 17만 개 늘면서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고, 보건·사회복지(15만 개), 정보통신(8만 개), 전문·과학·기술(7만 개), 교육(7만 개) 등이 뒤를 이었다. 숙박·음식업은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1만 개 줄면서 산업 중 유일하게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도·소매업은 비대면으로 전환해 일자리가 오히려 증가했다. 차 과장은 "도·소매업은 온라인 비대면 서비스가 많이 증가했다"며 "도·소매업에는 무점포 소매업이 있는데, 지난해 6만 개나 늘어난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의 일자리가 1588만 개(62.1%)로 가장 많았고, 대기업은 424만 개(16.6%)였다. 또 비영리기업은 546만 개(21.3%)였다. 지난해 늘어난 일자리는 중소기업이 49만 개, 비영리기업이 19만 개, 대기업이 17만 개였다. 대기업 일자리는 30대가 28.9%로 가장 많이 점유했고, 중소기업과 비영리기업 일자리는 50대가 각각 24.6%, 23.8%로 가장 많이 점유했다.
전체 일자리 가운데 임금 근로 일자리는 2095만 개(81.9%), 비임금 근로 일자리는 463만 개(18.1%)였다. 전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933만 개(75.6%)이고,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287만 개(11.2%)로 나타났다.
기업체 생성이나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338만 개(13.2%)였다. 지속 일자리와 대체 일자리가 각각 3.6%, 4.7%씩 늘어난 반면, 신규 일자리는 1.3% 증가하는 데 그쳤다. 기업체 폐업이나 사업 축소로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52만 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