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가 한국 반도체, 원전 등 분야 인정, 협력 제안"
반중 노선 강화 우려엔…"안보 개념 포괄적으로 바뀌어"
대통령실은 30일 "이번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에서 목표로 했던 가치 규범의 연대, 신흥 안보 협력의 강화, 글로벌 네트워크 등 3가지 큰 목표를 달성했다"고 자평했다. 다만, 서방 중심의 나토와의 협력 강화는 '중국 견제' 분위기로 읽힐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윤 대통령의 다자외교 데뷔전에 대한 평가가 갈리는 이유다.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김태효 1차장은 이날 스페인 마드리드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 가치 문제가 유럽의 가치 문제와 동떨어질 수 없고, 한 지역의 안보 현안이 글로벌에 증폭되므로 (이번 회의에서) 모든 지구촌 국가들이 협심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식에 도달했다"며 가치 규범 연대를 강조했다.
이어 "가치의 공감대를 지역별로 나눠 해결하는 게 아니라, 분쟁이나 전쟁도 다른 지역의 전략 사안과 합치고 연결하면서 지역별 협력이 시너지를 내야 한다는 결론을 냈다"고 설명했다.
또 신흥 안보협력에 대해서는 "반도체와 배터리, 원전 건설 등의 분야에서 국제사회가 한국의 역량을 인정하고 협력을 먼저 제안했다"고 전했다.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에 대해선 "나토 정상회의 환영 만찬과 정상회의 시작, 진행 과정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30여 개 이상 국가의 정상들과 환담을 나누고 담소를 하면서 친분을 쌓았다"면서 "앞으로 5년 동안의 정상 외교의 첫 단추를 잘 끼웠다"고 말했다.
다만, 윤 대통령의 적극적인 나토 정상회의 행보가 ‘반중’ 노선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중국은 나토가 중국을 겨냥해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과의 협력 확대에 나서는 것에 연일 강하게 반발하고 있으며, 물론 나토와의 협력에 나선 한국과 일본에 대해서는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놨다. 미·유럽과의 협력 강화와 동시에 중국 리스크도 함께 관리하는 것은 윤 대통령의 숙제다.
중국의 불만에도 윤 대통령은 나토와의 협력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나토가 설립된 지 74년이 됐지만, 그동안 정치 군사적인 안보에서 공급망을 포함한 경제안보, 포괄적인 안보로 안보개념이 바뀌어 가고 특정지역의 동맹만으로는 안보위기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공감대를 갖게 됐다"며 "또 우크라이나 사태가 그러한 인식을 더욱 확대시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