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 인사이드] PBV 목적기반 모빌리티 10문 10답

입력 2022-04-16 09: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아가 쿠팡과 함께 물류 및 배송시장에 최적화된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ㆍPurpose Built Vehicle)’를 개발한다.

물류 배송 전용차와 서비스 등을 개발, 글로벌 물류시장에서 모빌리티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PBV, 이른바 ‘목적 기반 모빌리티’는 어떤 차일까

▲도심항공모빌리티(UAM)가 거점과 거점을 연결한다면, 목적기반모빌리티(PBV)는 최종 목적지까지 이동을 책임진다. 공간활용성을 높인 만큼, 실내공간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
▲도심항공모빌리티(UAM)가 거점과 거점을 연결한다면, 목적기반모빌리티(PBV)는 최종 목적지까지 이동을 책임진다. 공간활용성을 높인 만큼, 실내공간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

①도대체 PBV가 무슨 차야?

미래 모빌리티는 운전자 대신 승객과 이동에 초점이 맞춰진다. PBV는 그 끝에 자리한 궁극점이다.

사용 목적과 운행 용도가 뚜렷하고, 승객 또는 화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운송 수단이다. 1인승 퍼스널 이동체 역시 다양한 PBV 가운데 하나로 분류된다.

자연스레 실내공간 활용도는 물론 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다.

PBV 대부분이 실내공간 활용도를 확대하기 위해 원박스카 형태를 지녔다. 운전자와 동승자의 개념이 아닌, 이 전체를 아우르는 ‘승객’의 개념을 먼저 앞세웠기 때문이다.

▲글로벌 주요 완성차 제조사가 PBV 방향성을 정립하고 초기 양산차를 준비 중이다. 사진은 2018년 등장한 르노 EZ-프로 콘셉트 모습.  (출처=뉴스프레스UK)
▲글로벌 주요 완성차 제조사가 PBV 방향성을 정립하고 초기 양산차를 준비 중이다. 사진은 2018년 등장한 르노 EZ-프로 콘셉트 모습. (출처=뉴스프레스UK)

②언제 처음 나왔던 개념이지?

PBV와 MPV 등 이름만 다를 뿐, 개념은 이미 반세기 전에 시작했다.

전통적인 3박스 세단이 자동차 시장을 장악하던 무렵, 원박스 또는 1.5박스 형태의 미니밴이 등장했다. 이때를 PBV의 시초로 보는 시각이 대부분이다.

승용차의 안락한 승차감과 성능, 여기에 승합차의 특성을 담은 미니밴은 어느 시대에서나 꾸준한 수요를 유지하고 있다.

미래 모빌리티로써 PBV 개념은 2010년대 들어 본격화됐다. 미국은 GM이, 유럽은 메르세데스-벤츠와 폭스바겐ㆍ르노 등이 방향성을 정립한 상태다. 한국의 현대차그룹도 뚜렷한 방향성을 정립한 상태다.

▲르노 EZ-프로는 바퀴와 언더보디가 일체형이다. 그 위에 얹은 케빈을 바꾸면 때로는 승합차로, 때로는 화물 밴으로 변모한다.  (출처=뉴스프레스UK)
▲르노 EZ-프로는 바퀴와 언더보디가 일체형이다. 그 위에 얹은 케빈을 바꾸면 때로는 승합차로, 때로는 화물 밴으로 변모한다. (출처=뉴스프레스UK)

③다른 회사들도 PBV를 추진 중인가?

현대차그룹은 도심항공모빌리티(UAM)와 목적기반모빌리티(PBV)를 모두 추진한다. 둘 사이를 연결하는 허브(HUB) 개념도 도입했다.

이미 많은 제조사도 이 가운데 하나인 PBV 청사진을 공개하고 개발 중이다.

특히 미국 GM은 물류 배송을 목적으로 한 배송용 PBV ‘EV600’과 소형 모델 ‘EV410’ 등을 이미 선보였다. EV600은 미국의 운송업체 페덱스에 올해 첫 공급을 시작했고, EV410은 미국의 대표 소매유통업체인 월마트와 5000대의 공급 계약을 성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배송용 PBV가 본격적인 양산 시대를 맞은 셈이다.

유럽에서는 르노가 2018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를 통해 EZ-프로를 공개했다. 특징은 언더보디와 케빈이 분리된다는 점이다.

먼저 4개의 커다란 바퀴와 바닥이 하나의 모듈로 이어졌다. 그 위에 얹은 케빈(승객공간)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바꿔 장착할 수 있다. 원박스카를 얹으면 승합차가 되고, 1.5박스 화물 밴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현대차그룹이 제시한 PBV 콘셉트는 차 길이에 따라 여러 모델로 등장할 예정이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이 제시한 PBV 콘셉트는 차 길이에 따라 여러 모델로 등장할 예정이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

④차들이 다 똑같이 생겼던데

실내공간 활용도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리면서 디자인이 획일화됐다.

다만 현대차그룹이 추구하는 PBV는 언뜻 비슷하지만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이 투자한 전기차 전문 ‘카누’ 사(社)와 협업해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이런 모양의 언더 보디는 종류 또는 길이에 따라 3가지 또는 4가지로 만든다. 그 위에 얹은 케빈은 다양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다. 아직 구체적인 콘셉트가 확정되지 않은 만큼, 더 멋진 PBV가 등장할 가능성도 충분하다.

▲현대차그룹이 추진 중인 PBV는 커다란 바퀴 대신 볼(Ball) 타입의 구동체를 지녔다. 4개의 바퀴 자리에 각각 4개씩 볼 구동체가 달려 총 16개의 구동체로 움직인다. 사진은 한국타이어가 개발한 볼핀 구동체 모습.   (사진제공=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
▲현대차그룹이 추진 중인 PBV는 커다란 바퀴 대신 볼(Ball) 타입의 구동체를 지녔다. 4개의 바퀴 자리에 각각 4개씩 볼 구동체가 달려 총 16개의 구동체로 움직인다. 사진은 한국타이어가 개발한 볼핀 구동체 모습. (사진제공=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

⑤사진을 보니 차에 바퀴가 없던데

바퀴 없이 차가 움직이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현대차그룹이 공개한 PBV 콘셉트도 마찬가지다. 안 보여서 그렇지 차 안에 바퀴가 무려 16개나 숨어있다.

작은 공 모양의 구동체 16개가 각각 4개씩 모서리에 숨어있다. 비슷한 개념을 담았지만 커다란 바퀴를 달고 있는 르노 EZ-프로와 가장 큰 차이점이다.

물론 상대적으로 회전 지름이 작고, 서스펜션을 자유롭게 세팅할 수 없다. 목적이 뚜렷한 전용 자동차인 만큼, 하나를 얻으면서 다른 하나를 포기하는 이른바 ‘트레이드-오프’ 성격으로 봐야 한다.

▲PBV는 자율주행차를 기반으로 등장한다. 앞차와 거리를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달릴 수 있는 이른바 '군집주행'이 가능하다.  (출처=르노뉴스룸)
▲PBV는 자율주행차를 기반으로 등장한다. 앞차와 거리를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달릴 수 있는 이른바 '군집주행'이 가능하다. (출처=르노뉴스룸)

⑥PBV 나오면 정말 교통체증이 사라져?

교통 정체의 원인은 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의 속도가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운전자마다 다른 ‘차간거리 인식’도 교통정체를 더 극심하게 만든다. 선두그룹에서 앞차와 거리를 좁혔다 늘리기를 반복하면, 후미에서는 이 여파가 정체로 이어진다.

자율주행차를 기반으로 한 PBV가 등장하면 교통 체증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레벨 5단계 수준의 자율주행차는 자동차 전용도로에 올라서면 혼자 달리는 게 아닌, 주변에 목적지가 같은 차와 앞뒤로 나란히 달릴 수 있다. 이른바 '플래툰 드라이빙'으로 불리는 군집주행이다.

안정적인 군집주행 시스템이 확산하면 같은 도로 인프라를 바탕으로 더 편하고 빠른 이동이 가능해진다. 물론 교통체증도 크게 줄어든다.

▲이동 중에는 차 안에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
▲이동 중에는 차 안에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

⑦車에서 영화도 본다고?

볼 수 있다.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동안 차 안에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즐길 수 있다.

단순하게 영화나 드라마를 고르고, TV홈쇼핑을 즐기는 차원을 넘어선다. 예컨대 자율주행차가 오르막을 오르면, 차 안에서 상영되는 영화 속에서도 주인공도 비행기를 타고 이륙하는 영상을 즐길 수 있다.

차가 요철 부근을 지날 때면 영상에서도 충격 장면이 이어진다. 한 마디로 4D 영화를 차에서 직접 즐길 수 있다는 의미다.

독일 아우디는 자율주행차 시대를 대비해 영화사를 인수하기도 했다. 일반 콘텐츠가 아닌, 자율주행차에 맞는 콘텐츠를 별도로 제작하기 위해서다.

▲현대모터스튜디오 고양에 마련된 PBV 체험공간. 이투데이 16기 수습기자들이 PBV 개념을 직접 체험하고 있다.  (이투데이)
▲현대모터스튜디오 고양에 마련된 PBV 체험공간. 이투데이 16기 수습기자들이 PBV 개념을 직접 체험하고 있다. (이투데이)

⑧그럼 유리창이 없는 건가?

유리창은 있다. 그러나 이를 커다란 스크린으로 바꿀 수 있다.

자동차의 유리를 스크린처럼 활용하는 기술은 이미 양산 단계에 접어들었다.

다만 양산 초기인 만큼 이질감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차 지붕에 달린 집열판을 바탕으로 전기 배터리 충전도 가능하다.

▲르노 EZ-프로는 이동식 업무공간으로 변신할 수 있다.  (출처=르노뉴스룸)
▲르노 EZ-프로는 이동식 업무공간으로 변신할 수 있다. (출처=르노뉴스룸)

⑨그런데 車멀미 날 것 같아

차에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감상할 경우 자칫 멀미가 생긴다.

멀미의 원인은 간단하다. 귀 안쪽 달팽이관 부근의 3각 신경이 우리 몸의 움직임을 인지한다. 이 3각 신경은 △위↔아래 △앞↔뒤 △좌↔우로 신경을 뻗어 나가 있다.

우리 몸이 움직일 때마다 이 신경이 움직임을 감지한다. 질병 또는 사고로 이 신경계가 제 역할을 못 할 경우 ‘어지러움’증이 생기기도 한다.

차 멀미는 우리 눈으로 보는 시각적 변화와 3각 신경계의 움직임이 불일치할 때 일어난다. 차 안에서 책을 보는 경우 시각은 고정돼 있으나 3각 신경은 몸의 움직임을 뇌에 전달하기 때문이다.

자율주행차 시대가 성큼 다가오면서 완성차 제조사들은 멀미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LED를 이용한 시각적 보정이다. 예컨대 차가 움직이면 실내에 길게 뻗은 LED 불빛이 이동한다. 차가 빨라지면 불빛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차가 멈추면 LED 움직임도 정지한다.

이 기술은 자율주행차 양산보다 먼저 일반차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기아가 올해 선보일 예정인 니로 플러스의 모습. PBV 시대까지 과도기에 다양한 개념 모델이 등장할 예정이다.  (사진제공=기아)
▲기아가 올해 선보일 예정인 니로 플러스의 모습. PBV 시대까지 과도기에 다양한 개념 모델이 등장할 예정이다. (사진제공=기아)

⑩그래서 그런 차가 언제 나오는데?

이미 PBV 초기 콘셉트를 담은 차들이 속속 양산 중이다.

기아는 조만간 경우 니로 EV를 바탕으로 실내 전고를 높여 승하차성을 개선한, 쾌적한 내부 공간을 구현한 니로 플러스를 출시한다.

택시 사업자 고객을 대상으로 30만km 배터리 보증과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해 고객의 비즈니스 수익성을 극대화할 전망이다.

기아는 2025년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을 바탕으로 한 전용 PBV 모델을 출시한다. 이를 시작으로 2030년 글로벌 PBV 세계 1위 브랜드로 자리 잡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스스로 움직이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진정한 의미의 PBV는 2030년대 중반께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아는 2025년 본격적인 PBV 양산에 나선다.  (사진제공=기아)
▲기아는 2025년 본격적인 PBV 양산에 나선다. (사진제공=기아)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4,893,000
    • +3.85%
    • 이더리움
    • 4,471,000
    • +0.79%
    • 비트코인 캐시
    • 610,500
    • +2.43%
    • 리플
    • 820
    • +1.23%
    • 솔라나
    • 303,100
    • +6.43%
    • 에이다
    • 833
    • +3.87%
    • 이오스
    • 785
    • +5.51%
    • 트론
    • 231
    • +0.43%
    • 스텔라루멘
    • 154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450
    • -1.71%
    • 체인링크
    • 19,780
    • -1.44%
    • 샌드박스
    • 409
    • +3.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