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사모펀드 시장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7일 ‘사업재편 활성화를 위한 사모펀드 시장의 과제 보고서’를 발표하고 “사모펀드가 기술기업에 성장자본을 공급하고, 경영권을 통해 피 투자기업의 경영개선 및 인수·합병(M&A)을 주도해 시장 중심의 사업재편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를 위한 과제로 △메가펀드 육성 △해외투자전용 기업주도 사모펀드 신설 및 펀딩규제 철폐 △중소기업과 사모펀드 협업 지원 △리스크 관리 능력 및 ESG 역량 강화 △업무집행사원(GP)의 정보공개 확대 등을 제시했다.
상의는 우선 글로벌 수준의 메가펀드를 육성하기 위해서 적극적인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메가펀드는 기술기업 투자를 전문으로 대규모 자금을 운용하는 사모펀드다. 해외에서는 10억 달러 이상의 메가펀드가 운영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경영참여형 사모펀드 규모가 소형화하는 추세다. 기술기업 투자에 특화한 대형 사모펀드도 없는 실정이다.
대한상의는 “국내 기술기업의 사업 확장, 해외진출, M&A 등을 위해 글로벌 수준의 1조 원 이상의 메가펀드가 필요하다”며 “정부가 기술기업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사모펀드를 조성한 후 대규모 민간자금을 유치하고, 이 펀드를 통해 성장잠재력이 큰 기술기업에 대해 대형 투자를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국내 기업의 해외 기술기업 인수를 위해 해외투자전용의 기업주도형 사모펀드가 필요하다고도 주장했다. 해외 기술기업을 인수하기 위해선 막대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기업주도형 사모펀드가 필요하지만 현재 기업의 사모펀드 운용은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있다.
상의는 “해외투자전용의 기업주도형 사모펀드에는 외부자금조달 한도를 적용하지 말고 국내외 자금 유치 규모를 키워 글로벌 수준의 메가펀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반 기업이 ‘전략적투자자’로 사업재편 시장에 참여하는 기회도 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략적투자자란 경영권 확보와 사업 영위를 목적으로 한 투자자다. 재무적 투자자보다 중장기적으로 기업의 사업재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상의는 “성공적인 사업재편을 위해서는 경영 개선 및 신사업 발굴 등에 대한 경영 역량을 가진 일반기업의 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며 “많은 중소ㆍ중견기업이 전략적투자자로서 참여할 수 있도록 중소ㆍ중견기업과 재무적 투자자와의 협업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운용사와 투자자의 엄격한 리스크 관리 능력과 기관전용 사모펀드의 ESG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상의는 최근 제도 개편으로 경기 변동에 민감한 중소기업의 사업재편 자금 공급에서 사모대출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운용사와 투자자의 엄격한 리스크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했다. 또 사모펀드가 경영에 참여해 피 투자기업의 ESG를 개선, 피 투자 기업의 시장가치를 올리는 데도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기관전용 사모펀드 시장의 질적 발전을 위해 업무집행사원의 정보 공개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상의는 “사모펀드 시장의 투명성 및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역량 있는 업무집행사원을 선별해야 한다”며 “다양한 유한책임사원(LP)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업무집행사원의 포트폴리오 구성, 운용성과, 투자회수 기간 등의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한상의 SGI 김경훈 연구위원은 “디지털전환 및 저탄소 경제 시대에 기업의 경쟁력 확보는 기술집약적이며 기술 친화적인 기업으로의 전환 성공 여부에 달려있다”며 “국내에도 기술기업 투자 전문의 메가펀드를 조성하고 기술기업에 대한 투자와 M&A를 늘려 중소기술기업의 성장과 기존 기업의 친 기술기업으로의 전환을 촉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