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위 테슬라 92만 대…현대차 24만 대로 5위
韓시장 전년比 2.2배 증가, 현대차는 2.6배↑
테슬라 독주 깨지고 벤츠ㆍ아우디 등 약진
지난해 글로벌 순수 전기차(EV) 판매가 472만 대를 넘어서며 점유율 5.8% 기록했다. 92만 대를 판매한 테슬라가 1위, 24만 대를 기록한 현대차그룹은 5위에 올랐다.
시장의 판세 변화도 이어졌다. 테슬라의 독주 체제가 무너지는 사이 독일 폭스바겐과 한국 현대차그룹 등 대량생산 체제를 갖춘 대중차 브랜드가 본격적인 약진에 나섰다.
7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SNE리서치 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2021년 전기차 판매 실적 및 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글로벌 EV 판매는 전년(222만411대) 대비 112% 증가한 471만7728대로 집계됐다.
전체 자동차 시장(8071만2000대)이 4% 늘어난 것을 고려하면 약 112% 성장한 EV 증가세는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시장 점유율 역시 전년(약 2.9%) 대비 2.9% 포인트 늘어난 5.8%에 달했다.
시장 1위는 중국 생산(모델 Y)을 본격화한 테슬라(92만1642대)가 차지했다.
뒤이어 중국 상하이차(61만1023대)→독일 폭스바겐(43만6669대)→중국 BYD(33만5257대)가 이름을 올렸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24만500대를 판매하며 5위에 올랐다.
다만 테슬라의 독주 체제는 점진적으로 힘을 잃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체 EV 판매가 112% 늘어나는 사이 테슬라의 성장세는 86%에 머물렀다.
이와 달리 자국 시장 성장세에 힘입은 중국 상하이차와 BYD 등이 각각 160%와 173% 성장세를 기록하며 약진했다.
뒤이어 폭스바겐(+98%)과 현대차그룹(+65%) 성장세도 전체 평균 성장세(+112%)를 뒤쫓으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여전히 평균치에 모자라지만 추세는 뚜렷한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다.
한국 EV 시장에서는 테슬라의 독주가 깨졌다. 현대차와 기아가 각각 전용 전기차 출시를 앞세워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독일 메르세데스-벤츠와 아우디ㆍ포르쉐 등도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에서 뚜렷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0년 한국시장에서 2만7888대의 전기차를 판매했던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157% 증가한 7만1785대를 판매하며 급성장했다.
지난해 4월 △현대차 아이오닉 5를 시작으로 △제네시스 G80 전동화 모델(7월) △기아 EV6(8월) △제네시스 GV60 등 잇따라 전기차를 선보인 덕이다.
지난해 국내 전기차 판매 1위는 2만2671대를 판매한 △현대차 아이오닉 5가 차지했다. 2위는 △현대차 포터 EV(1만5805대) △3위 기아 EV6(1만1023대) △4위 기아 봉고 EV(1만728대) 순이었다.
테슬라는 △모델 3(8898대) △모델 Y(8891대) 등을 앞세워 한국시장에서 1만7828대를 판매했다.
이 밖에 메르세데스-벤츠와 아우디, 포르쉐 등 독일 프리미엄 브랜드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아우디코리아가 1553대 △벤츠 코리아 1363대 등을 판매하며 전년 대비 2배 넘는 성장세를 각각 기록했다.
특히 △포르쉐코리아는 EV 스포츠 세단 ‘타이칸’을 앞세워 전년(48대) 대비 2600% 성장한 1296대를 판매했다.
나아가 국가별 구매 보조금 정책에 따라 판매 증가세는 엇갈릴 것으로 분석했다. 무엇보다 가격 경쟁력을 갖춘 대중차 브랜드의 전기차 성장세가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여전히 풀지 못하고 있는 반도체 공급 부족 및 니켈ㆍ코발트 등의 주요 원자재 가격 인상에 대응한 완성차 기업의 공급망 관리역량 차이가 실제 전기차 판매량에 반영될 것으로 전망했다.
먼저 중국은 전기차 보조금을 작년 대비 30% 삭감할 예정이다. 보조금과 무관한 초소형ㆍ고가 전기차 시장은 지속 성장하고, 보조금 적용 대상인 일부 제조사의 전기차 판매는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본격적으로 전기차 확대를 추진 중인 일본은 구매 보조금을 최대 80만 엔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 때문에 올해 일본 전기차 시장의 두드러진 성장세를 점치는 시각이 많다.
우리나라는 전기차 1대당 국고 보조금이 지난해 800만 원에서 올해 700만 원으로 축소된다. 1대당 보조금이 줄이는 대신 전체 보조금 지급 대상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8000억 원 수준이었던 보조금 지원 예산은 올해 1조2000억 원까지 늘어난다.
여기에 보조금을 100% 지원받을 수 있던 가격 상한선을 6000만 원에서 5500만 원으로 제한했다. 보조금 기준을 조정해 제조사의 전기차 가격 인하를 유도하겠다는 전략이다.